두산에너빌리티, 국내 원전 해체 ‘첫발’… 고리 1호기 공사 착수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손지연 기자
손지연 기자
수정 2025-11-05 00:56
입력 2025-11-04 18:02

한수원과 계약… 2028년까지 진행
글로벌 원전 해체 시장 입지 강화

두산에너빌리티가 국내 최초 상업용 원전인 고리원전 1호기 해체 공사에 착수하면서 국내 원전 해체 사업의 첫 삽을 떴다.

두산에너빌리티는 한국수력원자력(한수원)과 ‘고리 1호기 비관리구역 내부·야드 설비 해체공사’ 계약을 체결했다고 4일 밝혔다.

이번 사업은 지난 6월 고리 1호기 해체 최종계획 승인 이후 처음 진행하는 해체 공사다. 고리 1호기는 1978년 국내 최초로 상업운전을 시작해 2017년 영구 정지된 이후 약 8년 만에 해체 단계에 들어섰다.

두산에너빌리티가 주관사로 참여하는 이번 공사는 HJ중공업, 한전KPS와 함께 2028년까지 진행된다. 회사는 방사선 노출 없는 비관리구역 설비를 중심으로 터빈과 배관 등 2차 계통 설비를 순차적으로 해체할 계획이다. 2차 계통은 원자로에서 발생한 열에너지로 고온·고압의 증기를 만들고, 이 증기로 터빈을 돌려 전기를 생산하는 발전 관련 설비다.

이번 공사를 기반으로 두산에너빌리티는 글로벌 원전 해체 시장에서도 입지를 강화한다. 국제원자력기구(IAEA)에 따르면 전 세계에서 영구 정지된 원전은 현재 214기이며, 2050년까지 588기로 늘어날 전망이다. 산업통상부에 따르면 원전 1기를 해체하는 데 드는 비용은 8726억원으로, 글로벌 시장 규모는 2050년 500조원에 달할 것으로 보인다.



김종두 두산에너빌리티 사장은 “국내 원전 해체의 첫 단계를 두산이 맡게 돼 뜻깊게 생각한다”며 “수십 년간 축적한 기술력과 경험을 바탕으로 성공적인 공사 수행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손지연 기자
2025-11-05 1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에디터 추천 인기 기사
많이 본 뉴스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