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응축’된 추상 언어… ‘폭발’된 인간의 내면

윤수경 기자
수정 2025-11-02 23:57
입력 2025-11-02 23:57
김환기와 美아돌프 고틀리브
두 거장 작품 한 공간서 조우
윤수경 기자
‘응축’과 ‘폭발’.
한국 현대미술의 선구자 김환기(1913~1974)와 미국 추상표현주의 거장 아돌프 고틀리브(1903~1974)의 작품 세계를 각각 한 단어로 표현한다면 어울리는 단어가 아닐까.
서로 다른 문화적, 철학적 토대 위에서 정반대의 시각적 언어를 구축한 두 예술가가 한자리에서 만난다. 서울 용산구 페이스갤러리가 선보이는 2인전 ‘추상의 언어, 감성의 우주: 아돌프 고틀리브와 김환기’를 통해서다.
이번 전시는 아돌프&에스더 고틀리브 재단과 환기재단의 협력으로 기획돼 두 사람의 회화 16점을 다른 점과 닮은 점을 살피며 감상할 수 있다.
인연의 시작은 1963년 브라질 상파울루 비엔날레였다. 당시 김환기는 명예상을, 고틀리브는 그랑프리(최고상)를 거머쥐었다.
페이스갤러리 제공
●김환기, 고틀리브 작품서 큰 자극 받아
고틀리브의 작품에 큰 자극을 받은 김환기는 이후 뉴욕에 자리를 잡게 된다. 김환기는 “(고틀리브는) 내 감각과 동감되는 게 있었다. 퍽 애정이 가는 작가”라며 당시를 돌이키기도 했다. 갤러리 관계자는 “김환기가 비행시간으로 시상식을 놓쳐 심사위원실에서 명예상을 받았지만 훗날의 일기에 투병 중인 고틀리브와 전화 통화를 했다는 구절이 있는 걸 보면 두 사람은 어디서든 만났던 사이로 추정된다”고 설명했다.
고틀리브는 잭슨 폴록, 마크 로스코와 함께 뉴욕 화파를 대표하며 미국 추상표현주의를 선도한 작가다. 이번엔 그가 1950년대부터 시작한 ‘폭발’(burst) 연작과 ‘상상적 풍경’ 연작이 소개된다. 폭발 연작이 부유하는 원형 모양 아래 폭발적인 붓질을 병치한 모양이라면 상상적 풍경 연작은 전경과 배경의 구도를 도입해 상징적 형태를 구성하면서도 특정 풍경을 암시하지는 않는다. 그의 회화는 직관적인 형태와 대담한 색면을 결합해 감정과 무의식을 시각적으로 구체화한다. 과거 한 인터뷰에서 그는 “단지 내 개인적인 감정과 반사 신경, 본능으로 그림을 그린다”고 표현한 바 있다.
김환기는 세계 미술의 중심인 뉴욕에서 이방인으로서의 삶을 이어 가며 생애 가장 치열한 창작 시기를 맞았다. 그는 점차 구상적 요소를 배제하고 점, 선, 면으로 응축된 추상 언어를 완성해 나갔으며 비로소 ‘점화’를 탄생시켰다. 전시에서는 1960년대 후반부터 1970년대 초반에 이르는 작품을 중심으로 십자와 십자 구도를 활용한 점화의 조형적 발전 과정에 주목한다. 절제된 구성과 세밀하게 배치된 점들은 하늘과 바다, 온 우주가 응축된 것만 같다.
●인간 존재·우주적 감정의 보편성 탐구
갤러리 관계자는 “서로 다른 문화적 배경에서 출발했음에도 김환기와 고틀리브는 색채와 구조, 상징을 매개로 인간 존재와 우주적 감정의 보편성을 탐구했다”며 “두 작가의 시각적, 정서적 공명이 교차하는 지점을 통해 추상이 형식적 실험을 넘어 인간의 내면과 세계를 연결하는 언어로 확장되는 과정을 조명하는 자리가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전시는 내년 1월 10일까지.
윤수경 기자
2025-11-03 2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