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 퇴근 후 맥주 3캔? ‘침묵의 살인자’ 10년 앞당깁니다

김소라 기자
수정 2025-11-06 14:50
입력 2025-11-06 11:44
美 연구진, 뇌출혈 환자 1600여명 분석
“과음하는 사람, 출혈성 뇌졸중 10년 일찍 발병”
“뇌출혈 더 크고 깊어…고위험군 술 끊어야”
하루 맥주 3캔 정도의 술을 습관적으로 마시는 사람은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출혈성 뇌졸중 위험이 10년 앞당겨진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 하버드의대·매사추세츠종합병원(MGH) 연구진은 6일(현지시간) 미국신경학회(AAN) 저널 신경학(Neurology)에 이런 연구 결과를 발표하고 “술을 많이 마시는 사람은 뇌 혈관에 장기적인 손상을 가속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연구진은 뇌출혈로 입원한 환자 1600여명을 대상으로 음주량을 조사하고 CT(컴퓨터 단층촬영)과 MRI(자기공명영상)를 통해 뇌출혈 및 뇌의 미세혈관 손상 상태를 살폈다. 연구 대상자는 평균 75세였다.
연구진은 한 잔에 알코올 함량이 14g인 술을 하루 세 잔씩 규칙적으로 마시는 것을 ‘과음’으로 정의했다. 이에 따르면 하루에 355㎖ 용량의 맥주 세 캔, 소주 한 병 안팎을 습관적으로 마시는 사람이 과음에 해당한다.
연구 대상자 중 104명(7%)이 과음 기준을 충족했는데, 과음을 한 그룹에서는 평균 64세에 뇌졸중이 발병했지만, 과음하지 않은 그룹에서는 이보다 11년 이후인 평균 75세에 뇌졸중이 발병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과음한 그룹에서 뇌출혈이 더 심각한 양상으로 발병한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과음을 한 그룹의 뇌내출혈 크기가 70% 더 컸으며, 뇌의 깊은 공간까지 출혈이 발생할 확률이 2배 높았다. 이는 뇌실 내 출혈이 발생한 뇌실이 비정상적으로 커지는 부작용으로 이어진다고 연구진은 설명했다.
또한 과음한 그룹은 뇌 미세혈관질환으로 인한 뇌 백질 손상 징후를 보일 확률이 3배 이상 높았고, 뇌의 작은 혈관이 막히거나 손상되는 뇌 소혈관 질환이 발생할 확률도 2배에 가까웠다.
이들은 병원에 입원할 당시 혈소판 수치가 낮고 혈압이 높았는데, 이는 뇌졸중의 심각성과 회복 속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이라고 연구진은 설명했다.
연구를 이끈 에딥 구롤 박사는 “음주량을 줄이면 뇌출혈의 위험을 낮출 수 있을 뿐 아니라 뇌 소혈관 질환의 진행도 늦출 수 있으며, 이는 뇌졸중과 인지 기능 저하 등의 가능성을 줄일 수 있다”면서 “특히 고위험군은 술을 끊는 수준의 뇌졸중 예방 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김소라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