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충남 행정통합 ‘군불’, 지역 주도형 균형발전 모델 강조

박승기 기자
수정 2025-11-03 14:49
입력 2025-11-03 14:49
통합 특별법안 참여 국민의힘 의원 대거 참여
대전·충남특별시 설치 및 경제과학 수도 조성을 위한 특별법안이 국회에 발의된 가운데 행정통합에 대한 여론 확산을 위한 공론의 장이 펼쳐졌다.
3일 대전시와 충남도 등에 따르면 이날 국회 도서관 대강당에서 열린 ‘대전·충남 행정통합 포럼’에는 지역 인사뿐 아니라 특별법안 발의에 참여한 국민의힘 의원들이 대거 참여해 힘을 보탰다.
이장우 대전시장은 “행정통합은 수도권 일극 체제를 극복하고 충청권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한 시대적 소명”이라며 “중앙정부에서 권한과 재정을 대폭 이양받아 준 연방 수준의 지방정부를 구현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김태흠 충남지사는 “대전과 충남이 우선 행정통합의 물꼬를 트겠다”라며 “대전·충남 통합은 단순한 행정구역 조정이 아니라 대한민국 미래 100년을 이끌어갈 지방자치의 롤모델”이라고 통합에 대한 강한 의지를 밝혔다.
행정통합 논의는 ‘충청권 광역경제권’ 구상과 맞물려 있다. 대전과 충남이 생활권·경제권·교통망을 공유하는 환경에서 행정체계 통합과 지방분권 강화, 신성장동력 확보 등이 가능하다는 평가다.
이날 토론회에서 정재근·이창기 대전·충남 행정통합 민관협의체 공동위원장이 참여한 토론회에서는 지역 주도의 자율적 통합이 진정한 지방분권의 출발점이라는 점을 강조했다.
대전·충남 통합 특별법안을 대표 발의한 국민의힘 성일종 의원은 “대전·충남 행정통합은 단순 조직 개편이 아니라 국가 균형발전의 이정표를 세우기 위한 도전”이라고 말했다.
대전과 충남은 여야 의원과 국민 공감대 확산을 위한 활동을 펼쳐 특별법의 국회 통과를 위해 행정력을 집중한다는 계획이다. 특별법이 오는 12월 국회를 통과하면 내년 7월 대전·충남특별시 출범이 기대된다.
대전 박승기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