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약자동행지수 17% 늘어 2년째 상승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유규상 기자
유규상 기자
수정 2025-08-04 23:50
입력 2025-08-04 23:50

의료·건강, 안전 등 일상 영역 약진
주거·사회통합 부문은 소폭 하락

서울시의 ‘약자동행지수’가 2년 연속 상승한 가운데 주거와 사회통합 부문은 소폭 후퇴한 것으로 나타났다. 의료·건강, 안전, 생계·돌봄 등 부문은 전년보다 개선됐다.

4일 서울시가 발표한 약자동행지수 결과에 따르면 2024년 지수는 130.6으로 2023년(111.0) 대비 17.7%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기준연도인 2022년(100)과 비교해도 30.6% 높아진 수치다.

지난 2023년 개발된 약자동행지수는 생계·돌봄, 주거, 의료·건강, 교육·문화, 안전, 사회통합 등 6대 영역 50개 세부지표로 구성됐다. 서울시가 ‘약자와의 동행’을 선언한 2022년을 기준값(100)으로 놓고 산출해 수치가 100보다 높으면 정책 효과가 개선됐음을, 100보다 낮으면 부진했음을 의미한다.

이날 발표된 약자동행지수를 영역별로 분석하면 의료·건강(156.5), 안전(148.9), 생계·돌봄(127.8), 교육·문화(111.3) 등 시민 일상과 밀접한 영역이 종합지수 상승세를 이끌었다.

가장 큰 폭으로 오른 의료·건강 영역은 2023년 120.1에서 지난해 156.5를 기록했다. 취약 계층을 대상으로 건강 관리가 선제적으로 이뤄지고, 치매·정신건강 문제를 조기에 개입하는 동시에 회복 지원을 확대한 데 따른 결과라고 시는 설명했다.

반면 2023년(125.1) 큰 상승세를 보인 주거 영역 지수는 지난해 120.3으로 소폭 하락했다. 주거 취약 가구의 주거환경 개선 규모가 2023년 2694호에서 2024년 2157호로 줄어든 점이 영향을 미쳤다.

사회통합 영역 지수도 2023년 97.9에서 지난해 95.6으로 떨어졌다. 코로나19 이후 사회적 신뢰도가 떨어지면서 시민의 자원봉사 참여율(6.6%→6.4%), 기부 경험률(27.5%→26.4%) 등 지표가 하락한 결과라고 시는 분석했다. 정상훈 시 기획조정실장은 “앞으로도 시민이 체감할 수 있는 일상의 변화를 더욱 확산시키고 보이지 않는 사각지대까지 꼼꼼히 살피겠다”고 밝혔다.

유규상 기자
2025-08-05 2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많이 본 뉴스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