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도시’ 브랜드화 힘 쏟는 지자체들
김상화 기자
수정 2025-08-21 00:46
입력 2025-08-21 00:46
새 미래가치 창출·문화 콘텐츠 개발
교육부 지원 사업 뽑히면 국비 지원
세종·안동·영주 등 30개 지자체 진행

광주 동구 제공
자치단체들이 ‘인문도시’를 자처하며 브랜드화에 힘을 쏟고 있다.
경북 안동시는 한국국학진흥원과 공동 주최하는 ‘2025년 안동학 인문학술주간’(19~23일)을 통해 퇴계학 탄생지인 안동을 ‘인문학술도시’로 선포한다고 20일 밝혔다. 최근 ‘안동학’이란 지역학이 새롭게 조명돼 안동의 새로운 브랜드로 ‘인문학술도시 안동’을 삼고 이를 통해 그 위상을 제고하기 위해서다.
이를 기념해 이번 학술주간에 ▲역사 인물 대중 학술 강연회(19~20일) ▲‘광복 80년, 안동의 독립운동’ 주제의 안동학 학술대회(21일) ▲전국의 100여명 인문학 연구자가 참여하는 한국국학자대회(22~23일) 등 대규모의 인문학술행사를 개최한다.
영주시는 올해 6월부터 오는 2028년 5월까지 대구한의대와 함께 ‘인문도시 지원사업’을 벌인다.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이 주관한 공모사업에 선정됐다. 3년간 총사업비 4억 5000만원(국비 4억 2000만원, 시비 3000만원)이 투입된다. 시는 2013년 경북도 내 최초로 인문도시로 선정된 바 있다.
이번 사업의 주제는 ‘유의(儒醫·조선시대 유학 지식을 바탕으로 의학을 익힌 의사)를 품은 선비문화도시 영주, 노블레스 오블리주를 실천하다’이다. 주요 프로그램은 ▲유의 개념을 반영한 영주형 인문도시 브랜드 개발 ▲선비정신과 인술의 융합 철학을 주제로 한 지역 순회 인문강좌 ‘선비의사 유의’ 운영 ▲청소년, 노년층, 이주민 등 대상 맞춤 인문체험 프로그램 운영 ▲한국선비문화축제와 연계한 시민 참여형 축제 ‘신바람 나는 유의축제’ 개최 등이다.
세종시, 경북 포항시, 경남 진주시·하동군, 전남 영암군, 경기 안양·포천시 등 30여개 자치단체도 인문도시를 선포하고 다양한 교육·학술·체험·축제 등을 운영한다.
특히 인공지능(AI)을 앞세운 디지털 혁명시대에 설 자리가 점점 사라지는 역사·문학·철학·예술 등 인문학을 통해 지구촌 문제의 대안을 찾으려는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교육부가 주관하는 인문도시 지원사업에 선정되면 2~3년간 국비 지원을 받는다.
안동 김상화 기자
2025-08-21 2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