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석 연휴, 저렴이 제품 모아 나만의 ‘DIY’ 리폼 따라 해볼까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박상연 기자
박상연 기자
수정 2025-10-03 23:00
입력 2025-10-03 23:00
이미지 확대
유튜브에 게시된 변형 상품(DIY) 제작법 영상들 모습. 유튜브 캡처
유튜브에 게시된 변형 상품(DIY) 제작법 영상들 모습.
유튜브 캡처


“1000원짜리 투명 넓적 그릇에 3000원짜리 발광 전구(터치 라이트)를 붙이고, 다 비운 술병에 고정해 얹어놓으면 나만의 수면등이 완성돼요.”

직장인 송지안(29)씨는 “요즘 다이소에서 저렴한 제품들을 사서 취향대로 리폼(개조)해 새 제품을 만드는 재미에 빠졌다”고 했다. 소셜미디어(SNS)에서 수면등을 만든 것을 보고 따라 만들다 보니 일종의 ‘취미’가 됐다.

송씨처럼 최근 저가 생활용품 판매장이나 시장 등에서 물건을 산 뒤 본래 용도와는 아예 다른 제품으로 바꿔 만드는 사람들이 늘고 있다고 한다. 공장에서 제작해 유통하는 제품과 차이가 있다는 의미로 ‘DIY(Do It Yourself) 제품’이라고도 흔히 불린다.

초등학생 자녀를 둔 권하진(35)씨도 “아이가 유튜브에서 영상을 본 뒤로 만들어달라고 조르는 통에 1만원으로 모든 재료를 사서 립밤이 달린 키링(열쇠 등 고리) 4개를 만들었다”고 했다. 권씨가 만든 키링은 다이소에서 산 휴대전화 부착 고리, 원형 줄에 남대문시장에서 소량 구매한 액세서리용 구슬을 끼워 꾸민 것이었다.

DIY 제품은 온라인에서 제작법을 쉽게 찾을 수 있고, 개성을 살릴 수 있어 인기를 끌고 있다는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유튜브에도 ‘다이소 200% 활용법’ 등의 제목으로 DIY 방법을 소개한 영상 중 조회수 200만회를 넘는 경우도 많다. 인스타그램에도 ‘다이소 DIY’라는 해시태그를 달고 올라온 게시글은 1500개가 넘는다.

이은희 인하대 소비자학과 교수는 “기성 상품으로는 만족하지 못하고 새롭게 창조해내고 변형을 꾀하는 소비자들의 특성이 반영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박상연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에디터 추천 인기 기사
많이 본 뉴스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