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인난’ 부산 법인택시 가동률 49%뿐 …“근로 형태 다양화 절실”

정철욱 기자
수정 2025-10-05 07:00
입력 2025-10-05 07:00

부산지역 법인 택시 업체의 택시 가동률이 50%를 밑돌면서 기사 구인을 위해 근무 형태를 다양화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온다.
2일 택시업계에 따르면 지역 법인 택시 기사 수는 2019년 1만 649명에서 지난해 5609명으로 47% 줄었다. 같은 기간 휴업 대수는 2782대에서 5182대로 늘면서 가동률은 74%에서 46%로 떨어졌다.
이는 코로나19 영향으로 승객이 줄고 수입이 감소하면서 많은 택시 기사가 택배·배달업계로 이탈했기 때문이다. 택시 업계가 구인난을 겪으면서 지난해와 올해 부산시와 법인 택시운송사업조합 채용박람회를 열었지만, 지난달 기준 가동률은 49%에 그쳤.
조합에 따르면 지역의 95개 법인 택시 업체 대부분이 적자에 빠져 최근 4년간 누적 적자 규모가 약 800억 원에 달한다. 업계는 특히, 내년 8월 택시 월급제가 시행되면 수많은 업체가 도산할 것으로 우려한다.
월급제는 택시 기사가 주 40시간 이상 근무하도록 하고, 정액 급여를 보장하는 제도다. 2019년 관련법 개정으로 지난해 8월부터 시행할 예정이었으나, 서울을 제외한 나머지 지역은 2년 유예하기로 결정됐다.
조합 관계자는 “정부는 택시 기사 1인당 매출이 480만원을 넘으면 월급제 시행이 가능할 것으로 보지만, 업체는 최소 550만원이 필요하다고 추산한다. 현재 매출은 450만원 수준으로 정부 기준도 넘지 못한다”라고 말했다.
기사들도 월급제를 실시하면 실질 소득이 감소하고 근로의욕이 떨어질 것으로 우려한다. 기본적인 급여는 보장되지만 성과에 따른 소득은 줄어 오히려 수입이 감소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런 이유로 지난 8월 대구시택시운송사업조합이 실시한 임금체계 설문조사에서 2100명 중 4%만 월급제를 선호한다는 결과가 나오기도 했다.
업계는 구인난을 해결하기 위해 시간제, 리스제 등 다양한 근로 형태를 도입해야 한다고 본다. 리스제는 기사가 회사로부터 택시를 빌려 일정 임차료를 지불하고 나머지 운송 수입은 기사가 가지는 제도다.
조합 관계자는 “고령자나 부업 희망자는 원하는 만큼 단시간 근로를 할 수 있도록 하고, 장시간 근로를 희망하는 경우 일하는 만큼 수입을 가져갈 수 있도록 근무 형태를 다양화해야 구인난을 해결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부산 정철욱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