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중 화해 무드에 한국 경제도 ‘숨통’… 대중 수출 확대·희토류 공급망 호재로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이주원 기자
수정 2025-10-28 00:15
입력 2025-10-28 00:15

관세 완화로 中 덤핑 압박 피할 듯
조선·철강·반도체 수급에 긍정적

미국이 중국산 제품에 대한 100% 추가 관세 부과를 중단하고 중국은 희토류 수출 통제를 유예하기로 ‘잠정 합의’한 가운데 미중 무역 갈등이 봉합되면 한국 경제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관심이 쏠린다. 우선 한국의 대중 수출과 핵심 광물 공급망 안정화에 숨통이 트일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정부는 미중 합의를 예의 주시하며 영향 파악에 나섰다.

미국의 대중 관세 완화는 ‘중간재’ 중심의 대중 수출에 ‘호재’라는 분석이 우세하다. 그간 미중 무역 갈등 심화로 중국 내 경기가 둔화하면서 한국의 대중 수출도 함께 위축됐기 때문이다. 27일 한국무역협회에 따르면 올해 9월 누적 기준 대중 수출액은 942억 2900만 달러(약 135조원)로 지난해보다 3.6% 감소했다. 대중 수출은 지난 4월과 9월을 제외하면 모두 마이너스였다.

김정식 연세대 경제학부 명예교수는 “미중 갈등 완화로 중국의 경기가 회복되면 한국의 대중 수출이 늘어나는 효과가 있을 것”이라며 “미국이 자동차·조선·철강·반도체 등 전략산업은 계속 수입을 통제하면서 생필품 위주로 수입을 개방할 것이기 때문에 대중 관세를 완화해도 한국의 주력 수출 상품이 미국 시장에서 중국에 밀릴 가능성은 크지 않다”고 내다봤다.

김수동 산업연구원 글로벌경쟁전략연구단장은 “미국이 추가 관세를 계속 부과한다면 미중 간 무역이 단절되면서 중국산 제품이 제3국으로 쏟아져 나와 가격 경쟁이 심화할 수 있다”며 “이번 합의로 한국이 중국의 덤핑 압박을 피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또 중국의 희토류 수출 통제 유예로 한국의 핵심 광물 공급망도 안정화될 수 있다. 무역협회에 따르면 한국은 지난해 희토류 금속의 79.8%, 희토류 화합물의 47.5%를 중국에서 수입할 만큼 중국 의존도가 높다. 따라서 공급망이 원활해지면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등 반도체 기업의 수출이 늘어 국가 전체의 무역 실적도 개선될 수 있다. 정부는 중국의 희토류 수출 통제 이후 호주 등과도 공급망 협력 강화에 나섰지만 정제·가공시설이 중국에 집중돼 있어 단기간 대체가 쉽지 않은 상황이었다.



산업통상부 관계자는 “희토류 수입 허가를 신청한 뒤 실제 반입까지 시간이 지연돼 기업들의 경영 불확실성이 큰 상황이었다”면서 “이번 미중 합의로 공급 차질 우려가 일부 해소될 것으로 보고 있으며 오는 30일 미중 정상회담 결과를 자세히 지켜볼 계획”이라고 말했다.

세종 이주원 기자
2025-10-28 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에디터 추천 인기 기사
많이 본 뉴스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