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테크+] 4일 만에 1600% 폭등한 ‘이 주식’…알고 보니 ‘착각’이었다고?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김성은 기자
김성은 기자
수정 2025-10-28 16:56
입력 2025-10-28 16:56

나흘 만에 16배 폭등…일일 거래량 20억주 돌파
SNS서 “공매도 비율 80~100%” 허위 정보 확산
대주주들은 잇따라 지분 매각…“공시 확인 필요”

이미지 확대
나흘 만에 주가가 1600% 급등한 비욘드미트 사태를 생성형 인공지능(AI)으로 표현한 이미지.
나흘 만에 주가가 1600% 급등한 비욘드미트 사태를 생성형 인공지능(AI)으로 표현한 이미지.


식물성 고기 회사 비욘드미트의 주가가 나흘 새 16배나 치솟으면서 투자자들의 이목을 끌었지만, 이는 소셜미디어(SNS)에 퍼진 잘못된 정보 때문인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많은 투자자들이 공매도 비율이 80%가 넘는다는 거짓 정보를 믿고 대거 매수에 나섰지만, 실제로는 채권자들이 주식으로 전환받은 뒤 팔아치우고 있어 자칫 손실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옵니다.

27일(현지시간) 미국 투자전문매체 모틀리풀은 “비욘드미트의 1600% 급등은 공매도 쇼트스퀴즈가 아니었다. 훨씬 더 위험한 것이었다”는 제목의 기사를 통해 이같이 보도했습니다.

쇼트스퀴즈란 주가 하락에 베팅한 공매도 세력이 손실을 막으려고 주식을 되사들이면서 일시적으로 주가가 폭등하는 현상입니다.

비욘드미트 주가는 지난 16일 종가 기준 0.52달러에서 22일 장전 거래에서 8.85달러까지 치솟았습니다. 불과 나흘 만에 1600% 급등한 것인데요.

특히 21일과 22일 이틀 연속 거래량이 20억주를 넘어서는 등 폭발적인 거래가 이어졌죠.

SNS에 잘못된 정보 퍼져모틀리풀에 따르면, 앞서 SNS에서는 인플루언서들이 “비욘드미트 공매도 비율이 80~100%를 넘는다”는 주장을 퍼뜨렸습니다. 많은 투자자들은 이를 믿고 주식을 대량 매수해 주가를 끌어올림으로써 공매도 세력에게 손실을 입히려는 ‘응징’ 매수에 나섰습니다.

하지만 실제 상황은 달랐습니다. 비욘드미트는 13일 보도자료를 통해 “2027년 만기 전환사채 11억 1500만 달러의 96.92%가 주식으로 전환됐다”고 밝혔습니다.

채권자들은 지난 15일 3억 1615만 176주의 신주를 받았습니다. 이로 인해 비욘드미트의 발행주식수는 약 7600만주에서 3억 9760만주로 5배 이상 급증했습니다.

이에 대해 모틀리풀은 “일부 금융 사이트들이 데이터를 업데이트하는 데 며칠에서 일주일 이상 걸릴 수 있다”며 “이 때문에 오래된 정보가 그대로 돌아다닌 것”이라고 지적했습니다.

전체 주식수가 5배 늘어나면서 공매도 비율이 5분의 1로 줄었는데도, 일부 금융 사이트들이 데이터를 업데이트하지 않아서 투자자들이 오래된 데이터만 보고 공매도 비율이 높다고 착각했다는 설명입니다.

최신 데이터에 따르면 비욘드미트의 공매도 주식수는 5183만 4529주입니다. 전체 발행주식수를 고려하면 공매도 비율은 14%도 안 됩니다.

주주들은 잇따라 지분 매각반면 비욘드미트의 주요 주주 명단을 보면 채권자들의 매도가 실제로 이뤄지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 공시에 따르면 5% 이상 지분을 보유한 4개 기관 중 3곳이 이미 지분을 대폭 줄였습니다.

컨텍스트펀드는 5.2%에서 0%로, D.E.쇼는 8%에서 2.3%로, 울버린은 8.4%에서 4.82%로 각각 지분을 축소했습니다.

모틀리풀은 “투자자들이 낡은 데이터와 SNS의 잘못된 정보로 매수하는 동안, 주주들은 확실하게 주식을 팔아치우고 있다”며 “비욘드미트 사례는 기업이 SEC에 제출하는 공시 자료의 중요성을 보여주는 교과서 같은 사례”라고 강조했습니다.

이어 “투자 기회를 놓칠까 두려워하는 포모(FOMO·소외 공포증) 심리가 단기 변동성을 유발할 수 있지만, 잘못된 정보와 지속적인 주식 희석에 대한 기대는 결국 단기 수익만 좇는 투자자들에게 큰 손실을 안길 것”이라고 경고했습니다.

김성은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에디터 추천 인기 기사
많이 본 뉴스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