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도로에서 BYD(비야디)나 HIGER(하이거) 로고를 단 마을버스나 시내버스가 종종 목격된다. 모두 중국산 전기버스다. 저렴한 가격을 앞세운 중국 버스는 빠른 속도로 우리나라 버스 시장을 점유하고 있다. 2023년 기준 우리나라 전체 전기버스의 절반 이상이 중국산이었고, 지난해 정부의 보조금 기준이 강화되면서 비중이 37%로 줄었지만 여전히 수입 버스의 대부분은 중국이 차지한다.
중국산 제품은 이제 일상 속 깊숙이 들어왔다. 우리나라 가정에서 가장 많이 쓰는 로봇청소기 ‘로보락’ 역시 중국산이다. 2014년 설립된 이 회사는 가성비에 더해 시장 트렌드와 기술을 빠르게 따라잡으면서 글로벌 시장을 점령했다. 현재 로보락은 우리나라 로봇청소기 시장의 50% 이상을 차지하고 있으며, 세계 시장에서도 1위다. 과거 ‘중국산=저가’라는 인식이 더는 통하지 않는다.
대한상공회의소가 최근 국내 제조기업 370개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를 보면 2010년까지만 해도 우리 기술력이 중국을 앞선다고 본 기업은 90%에 달했지만 지금은 32%에 불과하다. 가격 경쟁력에서는 85%의 기업이 같은 사양에서 중국 제품이 더 싸다고 인정했으며, 생산 속도 면에서도 ‘중국이 더 빠르다’(42.4%)는 답변이 ‘한국이 더 빠르다’(35.4%)는 답변보다 많았다. 기술력 하나로 버텨왔던 한국 제조업이 이제는 품질·가격·속도 면에서 모두 압박받는 형국이다.
더 큰 위협은 중국이 제조업을 넘어 첨단산업에서 기술로 승부를 보려 한다는 점이다. 서울신문이 지난달 중국 상하이 ‘2025 로봇박람회’에서 본 중국 기업들은 저가형 제품이 아니라 고품질·고성능 로봇을 내세우며 글로벌 시장을 겨냥하고 있었다. 중국은 정부의 전략적 육성 정책을 기반으로 4세대 산업로봇인 휴머노이드(인간형 로봇)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대외경제정책연구원에 따르면 최근 3년간 전 세계에서 생산된 휴머노이드의 61%가 중국에서 만들어졌다. 세계는 이미 올해 초 중국의 생성형 인공지능(AI) 딥시크로 ‘딥 쇼크’에 빠진 바 있다.
중국의 급부상과 함께 세계 경제질서는 빠르게 재편되고 있다. 제조 강국으로 부상한 중국은 이제 반도체·로봇·전기차 등 첨단 산업의 주도권을 노리고 있고, 미국은 공급망 재편과 관세 정책을 강화하며 기술 패권을 지키려 한다. 미중 패권 경쟁은 단순한 무역 갈등을 넘어 AI, 에너지, 데이터 규범 등 ‘경제 안보’의 문제로 확대되고 있다.
이런 흐름 속에서 열리는 경주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는 세계 경제협력의 방향을 재설정하는 중요한 분기점이 될 수 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을 비롯한 주요국 정상들과 글로벌 기업인들이 모여 공급망, 디지털 전환, AI 협력 등 미래 산업의 방향을 논의한다. 한국은 의장국으로서 균형자이자 조정자로 중추적 역할을 맡게 된다. 글로벌 불확실성을 완화하고 협력의 틀을 만드는 ‘경주 선언’이 나오길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