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로의 ‘기술 이탈’ 견제하는 中… 폭스콘 엔지니어 300명 철수 지시

최영권 기자
수정 2025-07-04 00:28
입력 2025-07-03 18:11
미중 패권 다툼에 공급망 뺏길 위기
파견 나갔던 중국인 귀국 압박한 듯
아이폰17 생산 확대 제동 가능성도
블룸버그 통신은 2일(현지시간) 복수의 소식통을 인용해 폭스콘이 최근 인도 내 아이폰 공장에서 일하는 중국 엔지니어와 기술 인력들에게 귀국을 지시해 300명 이상의 중국인 직원들이 본국으로 귀환했다고 보도했다. 귀국 조치는 두 달 전부터 시작됐고 현지에는 대만 출신 엔지니어만 남아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정확한 복귀 사유는 알려지지 않았으나 블룸버그는 “중국 당국이 올해 초 지방정부와 규제기관에 인도와 동남아시아 등지로 기술 인력이나 장비가 이전되는 것을 막으라고 지시한 것과 관련 있는 조치로 보인다”고 해석했다.
폭스콘은 중국에 대규모 생산공장을 보유하고 있으며 대부분의 아이폰이 이곳에서 생산된다. 하지만 미중 패권 다툼이 격화하면서 애플은 ‘프렌드쇼어링’(제조 생산 기지의 우방국 이전) 전략의 일환으로 인도를 주목하고 있다. 애플은 현재 인도에서 아이폰의 20%를 생산하고 있으며, 내년 말까지 미국에서 판매하는 아이폰 대부분의 생산 거점을 인도로 옮긴다는 계획이다.
중국 정부는 애플의 이런 전략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하고 있다. 글로벌 기업들이 미중 갈등을 계기로 중국 일변도의 생산 거점을 다각화하려는 움직임을 보이자 이를 저지하기 위해 다양한 조치를 검토 중이다. 특히 애플은 인도에서 신제품 아이폰17 생산을 늘릴 계획이어서 이번 직원 철수가 악재로 작용할 수 있다. 블룸버그는 “중국인 직원 철수는 현지 인력 교육과 기술 이전을 지연시켜 현지 생산 비용 상승을 초래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최영권 기자
2025-07-04 1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