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정부, 임신 초 타이레놀 복용 시 ‘자폐증 위험’ 경고할 것”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임주형 기자
임주형 기자
수정 2025-09-23 02:11
입력 2025-09-23 02:11

트럼프 “의학 역사상 가장 큰 발표”
치료제로 ‘류코보린’ 홍보할 예정

이미지 확대
미국 뉴욕의 한 약국에 진열된 타이레놀. 로이터 연합뉴스
미국 뉴욕의 한 약국에 진열된 타이레놀. 로이터 연합뉴스


임산부가 타이레놀을 복용할 경우 태아의 자폐증 위험이 높아진다는 미국 정부의 연구 결과가 나올 예정이라고 워싱턴포스트(WP)가 21일(현지시간) 보도했다. 타이레놀은 전 세계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해열진통제로 지금까지는 임산부가 복용해도 안전한 것으로 알려져 있어 큰 파장이 있을 전망이다.

이날 WP에 따르면 이 같은 발표 내용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직접 검토했으며, 22일 백악관에서 열리는 기자회견에서 발표된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애리조나주 글렌데일의 스테이트팜 경기장에서 열린 보수 청년 활동가 찰리 커크 추모식 연설에서 “내일 우리나라 역사에서 의학적으로 가장 큰 발표 중 하나를 할 것”이라며 “놀라운 내용이 될 것이다. 우리가 자폐증에 대한 답을 찾았다고 생각한다”고 예고했다.

WP는 미 보건당국이 뉴욕의 대형 의료·연구 기관인 마운트시나이와 하버드대 연구진이 발표한 자료, 임신 초기 타이레놀 사용과 아동 자폐증 위험 증가의 연관성을 시사하는 기존 연구들을 검토했다고 전했다. 미 보건당국은 임산부에게 열이 없는 한 임신 초기에 타이레놀을 복용하지 말라는 경고를 할 것으로 보인다.

미 보건당국은 또 약물 부작용을 완화하고 비타민 B9 결핍을 치료하는 데 처방되는 ‘류코보린’을 잠재적인 자폐증 치료제로 홍보할 예정인 것으로 알려졌다. 자폐증 아동에게 류코보린을 투여한 초기 임상시험에서 말하기 및 타인의 이해 능력이 현저히 향상됐다는 것이다. 그간 자페증은 유전적 요인이라는 견해가 우세했던 터라 류코보린에 대한 연구 결과는 큰 주목을 받을 전망이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의 자폐증 발생률 증가에 대해 우려를 표명하며 해결책을 찾으라고 지시했고, 로버트 F 케네디 주니어 보건복지부 장관과 마티 마카리 식품의약국(FDA) 국장 등이 프로젝트를 진행했다.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에 따르면 미국 8세 아동 31명 중 1명은 자폐증을 앓고 있다. 지난 2000년엔 약 150명 중 1명꼴이었으나 크게 증가했다. 다만 케네디 장관은 과거 자폐증과 백신의 연관성을 주장한 전력이 있어 이번 발표가 또 다른 논란을 일으킬 가능성도 제기된다.

워싱턴 임주형 특파원
2025-09-23 1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에디터 추천 인기 기사
많이 본 뉴스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