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캄보디아 조직, 고문 후 강제로 ‘보이스피싱’ 시켜”

최영권 기자
수정 2025-07-01 00:14
입력 2025-06-30 18:12
앰네스티, 53곳 사기작업장 등 확인
“3분의2 경찰 조사 피해” 부패 지적
30일 로이터 통신에 따르면 영국 런던에 본부를 둔 인권단체 국제앰네스티는 지난 26일(현지시간) ‘나는 누군가의 소유물이었습니다’라는 제목의 보고서에서 수도 프놈펜을 포함한 캄보디아 전역에서 53개의 사기 작업장과 수십개의 의심스러운 사이트를 확인했다고 밝혔다.
보고서는 캄보디아 범죄 조직이 운영하는 이들 불법 시설이 철조망과 높은 울타리로 둘러처져 있으며 무장한 남성들이 지키고 있는 사실상의 ‘감옥’이라고 분석했다. 이곳에서는 전 세계에서 가짜 구인 광고 등을 통해 유인돼 온 피해자들이 직원으로 근무하고 있으며, 전기충격기를 이용한 고문과 구타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앰네스티는 인터뷰한 58명의 피해자 중 9명이 어린이였다고 전했다.
한 예로 18세 태국 소년 ‘루이스’는 1년 전 페이스북을 통해 고소득 일자리를 제안받아 방콕으로 갔다가 캄보디아 사기 작업장으로 끌려왔다. 그는 사기 할당 금액인 월 최소 100만 바트(약 4158만원)를 채우지 못하거나 많이 쉴 경우 전기충격기로 고문을 당했다.
앰네스티는 “캄보디아 정부가 일부 피해자들을 석방했지만, 3분의2 이상의 사기 조직이 경찰 조사를 받지 않았거나 경찰 개입 뒤에도 운영되고 있다”며 경찰의 광범위한 부패 문제를 지적했다. 아녜스 칼라마르 앰네스티 사무총장은 “속아서 인신매매 노예가 된 사기 작업장의 생존자들은 캄보디아 정부의 허락하에 운영되는 듯한 범죄 조직에 끌려와서 ‘살아 있는 악몽에 갇힌 것 같다’고 말한다”고 전했다.
미국 싱크탱크 평화연구소(USIP)에 따르면 캄보디아의 사행 산업은 현재 연간 125억 달러(약 16조 8800억원) 이상을 벌어들인다. 이는 캄보디아 국내총생산(GDP)의 절반에 달하는 규모다. 미얀마와 라오스에서도 비슷한 범죄 조직이 번성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최영권 기자
2025-07-01 1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