밥상 책임지고 팬데믹에 맞선 콜드체인

유용하 기자
수정 2025-06-27 00:04
입력 2025-06-27 00:04
냉장의 세계/니콜라 트윌리 지음/김희봉 옮김/세종연구원/484쪽/2만 4000원

숨이 턱 막힐 정도의 찜통 더위에는 평소 찬 것을 즐기지 않았던 사람들도 냉장고 문을 수시로 여닫게 된다. 작열하는 태양 아래서 CF 카피처럼 “여름이니까, 아이스 커피”를 마실 때면 문득 냉장고가 없던 시절엔 도대체 여름을 어떻게 버텨 냈을까 하는 생각이 머릿속을 지나간다. 사실 우리가 계절에 상관없이 식중독을 걱정하지 않고 차가운 식품과 음료를 즐길 수 있게 된 것은 그리 오래된 일이 아니다.
책은 19세기 후반에 등장한 인공 냉장 기술과 생산 현장에서 각 가정의 냉장고까지 이어지는 ‘콜드체인’을 생생하게 보여 준다. 콜드체인은 냉장 기술을 바탕으로 식품의 신선도나 의약품의 품질을 일정하게 유지해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한 물류 시스템이다. 실제로 미국인의 식탁에 오르는 식품의 4분의3 이상이 냉장 상태로 가공, 운송, 보관, 판매된다. 제주, 경상, 전라, 충청 지역에서 생산한 식품을 서울에서 몇 시간 만에 새벽 배송으로 받을 수 있는 것도 냉장 기술과 콜드체인 덕분이라 하겠다.
물류 분야에서만 쓰이던 콜드체인이 대중에게 익숙한 시사용어로 자리잡은 것은 코로나19 팬데믹 때문이다. 많은 양의 코로나19 백신을 신속하고 안전하게 유통하기 위해 필요했던 것이 바로 냉장 기술을 바탕을 한 콜드체인이었다.
책에서는 현대적 냉장 기술이 등장할 때부터 여러 과학적 발견과 응용 기술, 얼음 수확, 산업 디자인, 대량 생산 시스템은 물론 공중보건과 위생, 식습관, 가정 내 성역할 등 다양한 분야와 관계를 맺고 영향을 미쳐 왔음을 보여 준다.
인류의 식생활을 풍요롭게 만든 냉장은 최근 심각한 문제에 봉착했다. 신선한 음식을 위해 인간이 ‘만든’ 북극이 누구도 상상할 수 없을 만큼 빠른 속도로 ‘진짜’ 북극을 녹이고 있다는 점이다. 그래서 “차가움은 인간과 환경의 건강을 위해서라기보다는 편리함… 이윤을 우선시하는 식품 시스템 구축의 핵심 요소”라며 “냉장은 우리가 가진 식품 시스템에 필수적이지만 냉장 식품 시스템이 꼭 지금과 같은 모습일 필요는 없다. 목표와 수단을 혼동해서는 안 된다”는 저자의 지적이 와닿는다.
유용하 전문기자
2025-06-27 2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