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능 6일 앞으로…입시 전문가들이 전하는 마지막 조언[에듀톡]

김지예 기자
수정 2025-11-07 14:17
입력 2025-11-07 14:14
상위권은 ‘고난도 다지기’
중·하위권은 ‘실수 줄이기’
평가원 모의고사 기출 점검
1교시 끝나고 정답 확인 금물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이 6일 앞으로 다가온 7일 입시전문가들은 정리해 온 오답노트와 EBS 연계 교재를 복습하고, 성적별 학습 전략으로 남은 기간을 마무리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우선 마무리 학습은 기출 문제와 오답 문항 위주로 정리할 필요가 있다. 최근 3년간 한국교육과정평가원 모의평가와 수능 기출문제는 최근 출제 경향에 가장 근접하므로 지나치게 어려웠던 모의고사보다 최근 수능 출제 경향 기조와 가장 부합되는 모의평가로 범위를 좁히는 게 효과적이다.
종로학원은 “분산된 오답 노트를 하나로 압축해서 수능 당일 고사장에서 활용하면 좋다”며 “단기간 암기를 통해서도 점수 상승이 가능한 탐구영역에 집중하는 것도 방법”이라고 조언했다.
상위권은 한두 문제만 더 맞혀도 선택의 폭이 넓어지는 만큼, 난도 높은 문항을 대비하는 게 고득점 전략이 될 수 있다. 변별력이 높은 비문학 지문이나 주관식 수학 문항 오답을 재점검하는 방식이다.
중·하위권 수험생들은 새로운 문항보다 그간 틀린 문제를 복습하는 데 중심을 둬야 한다. 맞힐 수 있는 문제는 확실하게 맞히고, 실수를 최대한 줄이는 게 핵심이다. 개념·문제풀이 요령이 취약한 하위권은 풀 수 있는 문제를 확실히 판단한 뒤 안정적인 점수를 받아야 한다.
김병진 이투스 교육평가연구소장은 “지금 시점에서는 새로운 것을 쌓기보다 이미 갖춘 실력을 최대한 끌어올리는 학습 마무리가 중요하다”며 “수능 준비물 체크리스트와 수능 시간대별 행동 강령을 차분히 정리하고 긍정적인 사고의 선순환이 이뤄지도록 마음가짐을 다듬어야 한다”고 했다.
학습만큼 중요한 것이 정신력 관리다. 올해 수능은 전년도보다 총 3만 1504명이 증가한 55만 4174명이 응시하는 만큼, 상위 등급 진입 인원이 늘어날 수 있다는 희망적 자세가 필요하다.
수능 당일에는 아침 식사는 간단히 하고 시험장에 여유있게 도착해 마음을 가라앉힌다. 점심은 평소에 먹던 음식들로 준비한다. 1교시 직후 쉬는 시간에는 이미 제출한 답안에 대해 다시 떠올리지 않는 게 좋다.
이만기 유웨이교육평가연구소장은 “생활을 수능 시간표에 맞추어 몸을 안정시키고 전날에는 컨디션을 조절해야 한다”며 “당일에는 문제를 차분히 끝까지 읽는 습관을 유지해야 실력을 그대로 가져가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고 했다.
김지예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