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월, 사람, 세대 잇는 우체국… 80년 광복의 기억을 배달합니다”

강국진 기자
수정 2025-08-11 13:42
입력 2025-08-10 23:48
김홍재 우체국공익재단 이사장
기억 콘텐츠·기억 편지로 구성국민과 유공자 후손에게 전달
시작은 한국 실상 알린 테일러

이지훈 기자
“편지는 그 자체로 역사 기록물이자 기억을 전달하는 공간입니다. 우체국이 광복 80주년의 기억을 배달하는 역할을 하려 합니다.”
서울 종로구 사직터널 위 언덕에 자리잡은 우체국공익재단은 우체국 네트워크를 활용해 소외계층을 지원하고 지역사회 발전에 힘을 보태기 위해 우정사업본부가 2013년 설립했다. 재단은 최근 광복 80주년을 맞아 ‘기억배달 우체국’이라는 뜻깊은 공익 캠페인을 시작했다. 김홍재 재단 이사장은 10일 “이번 사업은 기억을 전달하는 것이 곧 기억을 살리는 일이라는 믿음에서 출발했다”고 강조했다.
-기억배달 우체국 사업은 무엇인지.
“광복 80주년의 기억과 기쁨을 우체국다운 방식으로 표현해 국민에게 전달하고 국민과 나누기 위해 시작한 캠페인이다. 독립운동을 포함해 광복을 염원했던 기록을 ‘기억 콘텐츠’로 재구성해 소개하고, 독립운동가에 대한 존경과 감사의 마음을 담아 그 후손들에게 ‘기억 편지’를 보내는 캠페인이다. 지난 5월 취임 직후부터 광복 80주년을 맞아 재단이 할 수 있는 것을 놓고 고민이 많았다. 직원들과 머리를 맞대고 회의를 거듭한 끝에 시작하게 됐다.”
-‘기억을 배달한다’는 표현이 인상적이다.
“‘기억배달’이라는 말에 과거에 대한 존경과 미래의 책임을 담고자 했다. 또 역사적 기억이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음을 알리는 ‘전달자’ 역할을 우체국이 하면 좋겠다는 생각도 반영돼 있다. 독립유공자의 삶에 관한 기억을 잡지, 인공지능(AI) 영상, 굿즈 등으로 재구성해 국민에게는 ‘기억 콘텐츠’로, 유공자 후손에게는 ‘기억 편지’로 전달하려 한다. 기억의 주인공을 추천받고 지역의 독립유공자도 발굴할 것이다. 누구나 참여할 수 있다.”
-첫 주인공으로 앨버트 테일러를 선정한 이유는.
“AP통신원이었던 그는 3·1운동의 실상과 일제의 잔혹한 탄압 실태를 전 세계에 알리는 활동을 했다. 그 통로가 바로 편지였다. 테일러가 대한독립 의지를 세계에 알렸던 것처럼 이제 우리가 그의 이야기를 널리 알리고 이름과 업적을 기억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고 생각했다. 캠페인을 시작한 지 일주일도 안 돼 500여명이 유족에게 보내는 기억 편지를 쓰는 데 동참했다. 두 번째, 세 번째 주인공도 선정해 ‘기억배달 시리즈’로 확장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이 프로젝트를 통해 재단이 추구하는 궁극적인 가치는.
“전국 3400여개 네트워크를 활용해 원활한 소통을 이어 주고 있는 우체국이 가장 잘하는 일은 역시 ‘전달’이 아닐까 싶다. 우편을 넘어 사람과 사람, 세대와 세대, 과거와 미래를 이으며 ‘국민과 가장 가까이’에서 국민 편의와 안전을 위한 ‘전달자’로서 책임을 다하려 한다.”
강국진 기자
2025-08-11 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