李대통령 “북측 일부 철거” 발언에
金 “일방적 억측… 여론 조작” 비난
미러 회담 후 북미대화 전망에도
“미국과 마주 앉을 일 없다” 선 그어

김여정 북한 노동당 부부장이 14일 정부의 대북 긴장 완화 조치에 호응한 적이 없다며 남북 관계에 대한 적대적 인식을 재확인하고 남북·북미 대화 가능성을 일축했다. 북한은 대남 확성기를 철거한 적도 없다고 부인했으나 합동참모본부는 사실과 다르다는 취지의 입장을 내며 북측 주장에 “의도가 있다”고 밝혔다.
김 부부장은 이날 조선중앙통신을 통해 발표한 ‘서울의 희망은 어리석은 꿈에 불과하다’는 제목의 담화에서 “항시적인 안전 위협을 가해 오고 있는 위태하고 저렬한 국가에 대한 우리의 입장은 보다 선명해져야 하며 우리의 국법에는 마땅히 대한민국이 그 정체성에 있어서 가장 적대적인 위협 세력으로 표현되고 있고 영구 고착돼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정부의 대화 의지에 대해 “허황된 꿈”이라며 “꿈을 너무 많이 꾸면 개꿈이 된다”고 원색적 비난도 이어 갔다.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12일 “북측도 일부 확성기를 철거하고 있다”고 발언한 데 대해선 “무근거한 일방적 억측이고 여론 조작 놀음”이라며 확성기를 철거한 사실도, 의향도 없다고 못박았다.
앞서 합참은 지난 9일 우리의 대북 확성기 철거 작업에 호응해 북한도 일부 대남 확성기를 철거하는 동향이 식별됐다고 밝혔다. 이성준 합참 공보실장은 정례브리핑에서 “군은 확인한 사실을 말씀드렸고 현재도 (9일 발표 내용을) 유지하고 있다”며 북한이 이를 부인하는 것에는 “의도가 있다”고 밝혔다.
합참은 발표 당일 북한이 대남 확성기 중 2대를 철거하는 동향을 파악한 것으로 알려졌다. 군 관계자는 “합참 발표 후 철거됐던 확성기 중 1대는 원상 복귀됐고 나머지 1대는 여전히 철거 상태”라며 “북측이 남측의 대북 확성기 철거 조치에 호응하는 모양새로 보이는 것을 원치 않아 이런 담화를 발표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추정했다. 북한이 애초에 대남 확성기를 철거할 의사 없이 수리 등을 목적으로 일부 확성기를 떼었다가 붙이는 과정일 가능성도 제기된다. 군은 “대남 확성기 관련 동향을 지속 확인하겠다”고 말했다.
김 부부장은 담화에서 오는 18일 시작되는 한미 연합훈련 ‘을지 자유의 방패’(UFS) 연습을 일부 조정한 것에 대해서도 “평가받을 만한 일이 못 되며 헛수고로 될 뿐”이라고 비판했다. 또 “한국이 확성기를 철거하든, 방송을 중단하든, 훈련을 연기하든 축소하든 우리는 개의치 않으며 관심이 없다”면서 한국과의 적대 관계를 헌법에 담겠다고 예고했다.
15일(현지시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의 ‘알래스카 회담’을 계기로 북미 대화가 재개될 수 있다는 전망에는 “우리가 미국 측에 무슨 이유로 메시지를 전달하겠느냐”며 “우리는 미국과 마주 앉을 일이 없다”고 잘라 말했다. 이에 국방부는“실효적인 군사적 긴장 완화 조치들을 지속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허백윤·류재민 기자
2025-08-15 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