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영승 합참의장 후보자 군사분계선 ‘국경’ 언급…합참은 실수 정정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류재민 기자
류재민 기자
수정 2025-09-05 10:55
입력 2025-09-05 01:23

진 “전작권 전환, 조건 고려해야”

이미지 확대
진영승 합동참모의장 후보자가 4일 서울 용산구 육군회관에 마련된 인사청문회 준비 사무실로 출근하며 기자들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뉴스1
진영승 합동참모의장 후보자가 4일 서울 용산구 육군회관에 마련된 인사청문회 준비 사무실로 출근하며 기자들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뉴스1


진영승 합동참모의장 후보자가 4일 군사분계선(MDL)을 ‘국경’이라고 표현했다. 헌법상 우리 영토는 ‘한반도와 그 부속도서’인데 MDL을 국경이라고 잘못 언급한 것이다. 합참 측은 단순 실수라며 해당 발언을 정정했다.

진 후보자는 이날 서울 용산구 육군회관 인사청문회 준비 사무실에 출근하며 취재진을 만나 “전방에서의, 국경에서의 긴장이 완화되고 또 신뢰 구축이 돼야만 우리 국민이 일상에서 경제활동을 할 수 있다고 생각하시는 것 같다”고 발언했다. 이재명 대통령이 9·19 남북군사합의의 선제적 복원을 언급한 것에 대한 입장을 묻자 나온 답변이다.

북한은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2023년 12월 언급한 ‘적대적 두 국가 관계’ 노선에 따라 병력을 투입해 철책과 방벽을 세우는 등 MDL 일대 국경화 작업을 진행 중이다.

북한은 전방 지역에 대해 직접 국경이라고 표현했지만 우리 군은 국경이란 단어를 사용하지 않았다.

진 후보자의 발언을 두고 헌법에 규정된 영토 개념과 우리 군의 입장을 정확하게 대변하지 못했다는 지적이 나왔다. 합참은 뒤늦게 ‘국경에서의’ 표현을 빼는 것으로 정정한다고 공지했다.

진 후보자는 전시작전통제권 전환에 대해 필요성을 인정하면서도 “전환 시기나 과정은 여러 조건을 고려하면서 한미 간에 긴밀하게 준비됐을 때 전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밝혔다. 비상계엄에 대해서는 “있어서는 안 될 일”이라고 강조했다.



전날 김 위원장의 중국 전승절 80주년 참석과 관련해서는 “북한은 66년 전보다 국제사회에서 좀더 위상을 갖추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며 중국의 무기 기술이 북한에 이전될 가능성을 예의 주시해야 한다고 밝혔다.

류재민 기자
2025-09-05 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에디터 추천 인기 기사
많이 본 뉴스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