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금 격차·인재 유출…부산기업 연구개발 구인 비상등

정철욱 기자
수정 2025-08-19 13:51
입력 2025-08-19 13:51

부산지역 기업들이 수도권과 임금 격차, 인재 유출로 향후 연구개발 인력 확보에 어려움을 겪을 것으로 우려한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부산상공회의소는 지역 200개 제조기업, 이공계 대학생 200명을 대상으로 ‘부산지역 제조기업 연구개발 인력 미스매치 현황 조사’를 실시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19일 밝혔다.
조사 결과를 보면 응답 기업 53.5%는 현재 연구개발 인력 수급 상황이 적절하다고 응답했다. 연구개발 인력이 부족한 경우는 13.5% 수준이었다.
다만 중소기업은 대부분 자금 부족으로 정부 연구개발 예산에 의존하는데, 지난 정부에서 관련 예산이 삭감돼 현재로선 인력 수급에 애로가 없는 것으로 상의는 분석했다. 따라서 새 정부의 연구개발 예산지원 확대를 계기로 경쟁력 강화와 혁신 성장을 위한 투자가 활성화되면 인력이 부족해질 것으로 전망했다.
기업들이 연구개발 인력을 채용할 때 겪는 주된 어려움은 해당 분야 인력공급 부족 32.1%, 조기 퇴사 및 이직 24.5%, 지방 근무 기피 및 기업정보 부족 24.5% 등으로 나타났다.
특히 지역 전략산업인 조선·해양 관련 분야에서 연구개발 인력 부족을 호소하는데, 지역 대학에서 관련 전문 인력을 양성하고 있지만, 대부분 수도권 증지에 취업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으로 상의는 풀이했다. 지역 기업에 취업하더라도, 경력을 쌓은 후 임금 수준이 높고 연구개발 기회가 많은 대기업으로 이직하는 경우가 잦은 것도 지역 기업이 필수 연구개발인력을 유지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 이유로 지목했다.
이공계 대학생의 희망 임금과 지역 기업이 지급하는 현실 임금 간의 차이가 큰 것도 인력 유출의 큰 원인으로 나타났다. 이번 조사에서 이공계 대학생 31%는 초임으로 연 4000만원 이상을 희망했는데, 지역 기업의 90%는 연구개발 인력의 초임을 4000만원 미만으로 지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기업 52.5%는 연구개발 인력의 초임으로 3000만원에서 3500만원을 지급하고 있는데, 이 수준의 임금을 희망하는 이공계 대학생은 34.1%에 그쳤다. 지역기업은 연구개발 인력을 채용할 때 실무경험, 전공 및 교육훈련 이수 등 산업현장 경험을 중시하고, 이공계 대학생은 직장을 구할 때 임금과 근무 시간 준수 등 일과 삶의 균형을 중요하게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들은 이런 구인·구직 불균형 해소를 위해 연구개발 우수인력 공급, 인건비 지원 강화, 산학협력 과제 확대 지원, 지역 인재 유출 방지책 강화 등 정책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부산상공회의소 관계자는“지역 중소·중견기업들의 R&D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우수인력 확보를 위한 정책적 지원이 필수다. 특히 지역기업의 연구개발 채용에 가장 큰 걸림돌인 현실 임금과 기대 임금의 격차를 줄이기 위한 인건비 지원, 채용과 연계한 산학협력 확대를 통한 인재들이 지역에 정착 환경 조성 등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부산 정철욱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