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은 제비에 실은 고려인의 자유와 희망

서미애 기자
수정 2025-09-22 18:47
입력 2025-09-22 18:47
광주고려인마을, 시인 김인봉 한글문학 기획전
빛바랜 구절 속에 고려인의 눈물과 미래 담겨

광복 80주년을 맞아 광주 고려인마을 고려인문화관(관장 김병학)이 마련한 한글문학 기획전은 강제 이주의 풍찬노숙 속에서도 지켜낸 고려인 문학의 불씨를 다시 밝히고 있다. 이름 없이 사라진 수많은 필자들의 작품은 빛바랜 기록 속에서도 민족의 기억을 잇는 뜨거운 증언으로 남아 있다.
이번 전시에서 특별히 주목받는 이는 고려인 시인 김인봉(1907~1976)이다. 그는 낯선 중앙아시아 황무지에서 작은 제비에게 말을 걸었다. 날개를 펴고 자유롭게 하늘을 가르는 제비는 단순한 새가 아니라, 고향에 대한 그리움과 잃어버린 자유, 더 나아가 민족의 운명을 넘어서는 희망의 상징이었다.
연해주에서 태어나 고려사범대학을 졸업한 김인봉은 젊은 시절 독립운동에 몸을 던졌다. 블라디보스토크 신한촌에서 고려인 예술단 무대에 올라 고전극 ‘춘향전’과 항일 연극을 공연하며 청년들에게 조국의 기억을 일깨웠다. 그러나 1937년 스탈린의 강제이주 정책은 그의 삶을 송두리째 바꿔놓았다. 카자흐스탄 크즐오르다로 내몰린 그는 교단에 서서 아이들을 가르치는 한편, 모국어로 시를 쓰기 시작했다.
언어조차 금지되던 시대, 그는 끝끝내 한글을 붙잡으며 ‘우리가 누구인가’를 되묻는 글쓰기를 이어갔다. 1950년대 사할린으로 건너간 뒤에도 교직을 지키며 정년까지 펜을 놓지 않았다. 그의 시는 고려신문 등 한글 매체를 통해 공동체 안팎으로 퍼져나갔다.
대표작 〈작은 제비야〉는 고려인의 현실과 갈망을 집약한다.
“하늘에서 자유롭게 날아 치며/천하를 다 보는 저 작은 제비야,/내게도 겨드랑이에 날개가 들렸다면/높이 높이 날아올라 속 시원히 살펴보련만…”
짧은 몇 구절 속에 날개 없는 디아스포라의 삶과 자유에 대한 열망이 절절히 담겨 있다. 김인봉의 시는 단순한 서정이 아니라, 고려인 공동체가 모국어를 지켜내며 미래 세대에게 남긴 의지의 기록이었다. 아이들을 가르치고, 글자를 새기고, 언어를 이어간 그의 생애는 곧 고려인 한글문학의 씨앗이자 꺼지지 않는 불씨였다.
광주 고려인마을은 이번 기획전을 통해 그의 이름을 다시 호명하고 있다. 빛바랜 시 구절은 단지 한 시인의 목소리가 아니라, 일제강점기 국권 상실과 중앙아시아 강제이주라는 역사적 고난을 감내한 고려인의 눈물과 희망을 증언한다. 작은 제비를 바라보던 그의 시선은 이제 조상의 땅으로 돌아온 후손들의 가슴에 날개가 되어, 역사를 기억하고 미래를 향해 꿈을 펼칠 힘이 되고 있다.
광주 서미애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