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캄보디아 신부?” “무서워 예약 취소” 국제결혼 시장도 ‘불똥’
반영윤 기자
수정 2025-10-22 00:39
입력 2025-10-22 00:39
캄보디아 여성과 혼인 취소 급증
중개업체 “위험한 나라 낙인찍혀
기존에 진행하던 7건 중 4건 무산”
전문가 “차별·혐오 확산 경계해야”
123RF
40대 직장인 A씨는 지난주 결혼을 약속한 캄보디아 여성과 헤어졌다. 국제결혼 중개업체를 통해 예비 신부를 만난 A씨는 지난달 캄보디아 프놈펜의 예비 신부 집을 찾아 결혼 허락까지 받은 상태였다. 하지만 처음부터 결혼을 탐탁지 않게 여겼던 A씨 부모는 캄보디아발 납치·감금 사태 이후 “결혼하면 처가도 왔다갔다해야 하는데 그렇게 위험한 나라를 어떻게 가느냐”며 격하게 반대했다고 한다. A씨는 21일 서울신문과의 전화 통화에서 “가족들 만류에 결국 파혼을 결정했다”고 했다.
캄보디아발 범죄 사태 ‘불똥’이 국제결혼 시장으로도 번지고 있다. 국제결혼 중개업체들은 캄보디아인 예비 신부를 맞으려던 이들이 만남을 취소하거나 관련 문의도 급격히 줄었다고 입을 모았다.
국제결혼 중개업체 매니저로 일하는 김보경(37)씨는 “추석 전까지만 해도 캄보디아 여성과의 만남 문의가 일주일에 1~2건 정도는 있었는데, 지금은 단 한 건도 없다”며 “캄보디아가 ‘범죄 국가’로 인식된 영향인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또 다른 중개업체 대표는 “만남이나 결혼 중개 문의는 아예 없고, 기존에 진행 중이던 7건 중에서 4건이 무산됐다”며 “‘무서워서 결혼을 못 하겠다’, ‘혹시 범죄에 연루될 수도 있지 않으냐’고 하는데, 나머지 3건도 비슷한 이유로 취소될 것 같다”고 했다.
한국인 남성과 캄보디아인 여성의 혼인은 매년 400건 안팎을 유지하고 있다. 국가데이터처에 따르면 지난해 한국인 남성과 캄보디아인 여성의 혼인은 363건으로, 캄보디아는 베트남·중국 등에 이어 7번째로 한국과의 국제결혼이 빈번한 국가다.
하지만 이번 납치·감금 사태로 캄보디아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확산하고 있어 당분간 국제결혼이 성사되는 예는 줄어들 것으로 보인다. 캄보디아는 중개업체를 통한 외국인과의 혼인을 원칙적으로 금지하고 있으며 결혼할 때는 캄보디아 정부의 인터뷰에도 응해야 한다. 하지만 업체들이 개인 간 우연한 만남처럼 포장해 소개 절차를 진행해 왔는데, 이번 사태로 이런 움직임도 조심스러워졌다고 한다.
국제결혼 시장마저 캄보디아에 대한 공포로 영향을 받는 가운데 이런 현상이 차별이나 혐오로까지 이어지지 않도록 경계해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최항섭 국민대 사회학과 교수는 “국민이 실망하고 분노를 느끼는 대상은 미흡한 대응을 보이는 캄보디아 정부와 잔혹한 범죄자들”이라며 “죄 없는 캄보디아인과는 구분돼야 한다”고 했다.
반영윤 기자
2025-10-22 1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