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로 보행자 이동경로 예측, ‘교통사고 예방’

유용하 기자
                                수정 2025-10-30 00:58
                                        입력 2025-10-30 00:58
                                    CCTV가 촬영한 영상을 기반으로 2초 이내에 도로 영역 지도를 자동 생성해 횡단보도와 차도 전체를 위험 위치로 식별하고 인근 보행자의 미래 경로를 예측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보행자가 건널목에 진입하기 약 3초 전부터 전광판을 이용해 운전자에게 위험 알림을 보내는 방식이다.
이 기술은 교통 분야 이외에 물류센터, 공장, 건설 현장 등 산업 안전 분야로도 확장할 수 있다. 작업자와 지게차, 로봇, 운반차량 등 사람과 장비의 이동 경로를 예측하고 위험 위치를 식별해 충돌 가능성이 높은 상황을 선제적으로 표시하며, 단계별 위험 알림을 통해 관리자의 대응 시간을 확보함으로써 작업 공간의 안전성을 높인다.
=
유용하 과학전문기자
2025-10-30 2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