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력으로 17% 연료 절감…“日 ESG 경영은 선언 아닌 실천”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신융아 기자
신융아 기자
수정 2025-06-04 17:15
입력 2025-06-04 17:15
이미지 확대
한국경제인협회
한국경제인협회


일본에서 우수한 ESG(환경·사회적 책무·기업지배구조 개선) 경영을 실천하는 기업들은 자체 인증제 도입, 탄소 감축을 위한 기술 혁신, 지속 가능한 지역생태계 조성 등의 방식으로 기업·사회 가치를 동시에 높였다는 분석이 나왔다.

4일 한국경제인협회가 낸 ‘일본 ESG 경영 우수사례 10선’ 보고서에 따르면 일본의 대표적인 식품·제약그룹 메이지홀딩스는 ‘메이지 지속가능 제품 인증 제도’를 도입해 개발부터 소비까지 밸류체인의 전 과정에서 사회적 과제 해결에 기여한 제품을 독자 기준에 따라 인증한다. 인증을 받으려면 건강한 식생활 기여, 영양 가치 향상, 친환경 포장재 사용 등 5개 기준 중 4개 이상을 달성해야 한다.

자체 인증위원회를 두고 있는 종합 화학기업인 스미토모화학은 인증 제품의 매출을 핵심 성과지표로 설정하고 사회 가치 창출 기여도를 임직원 평가에 반영한다. 그 결과 2023년 5887억엔(약 5조 6000억원)의 인증제품 매출을 달성했다.

해운사인 상선미쓰이는 날개형 풍력 보조 추진 시스템인 ‘윈드 챌린저’를 통해 선박의 추진력을 일부 풍력으로 전환하고 있다. 지난해 4월까지 18개월간 시범 항해에서 최대 17%의 연료절감 효과를 거뒀으며, 이 기술을 2035년까지 80척에 도입할 예정이다.

한경협은 일본 기업들의 ESG 경영이 단순한 선언에 그치지 않고 제도화된 시스템과 기술 혁신, 지역·산업 생태계 전반의 ESG 확산 노력을 통해 구체적으로 실현되고 있다고 분석했다.

이상윤 한경협 지속가능성장본부장은 “이번 사례는 한국 기업들에 ESG를 기업가치 제고의 전략적 수단으로 활용하기 위한 시사점을 제공한다”고 말했다.

신융아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에디터 추천 인기 기사
많이 본 뉴스
1 / 5
1 / 3
광고삭제
121년 역사의 서울신문 회원이 되시겠어요?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