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월 은행대출 연체율 0.57%… 중기·가계 이어 대기업도 상승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김예슬 기자
김예슬 기자
수정 2025-06-27 09:30
입력 2025-06-27 09:30
이미지 확대
2014년 4월~2025년 4월 원화대출 연체율 추이. 금융감독원 제공
2014년 4월~2025년 4월 원화대출 연체율 추이. 금융감독원 제공


지난 4월 국내은행의 대출 연체율이 소폭 상승했다. 중소기업과 가계신용대출 연체율이 상승하는 가운데 대기업대출도 1년 2개월 만에 최고 수준까지 올랐다.

금융감독원이 27일 발표한 ‘국내은행의 원화 대출 연체율 현황(잠정)’ 자료에 따르면 지난 4월 말 기준 국내은행의 원화 대출 연체율(1개월 이상 원리금 연체 기준)은 0.57%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월 말에 비해 0.04% 포인트, 전년 동기 대비 0.09% 포인트 상승한 수치다.

신규 연체 발생액은 2조 9000억원으로 전월 대비 1000억원 줄었다. 연체채권 정리 규모는 1조 7000억원으로 같은 기간 2조 4000억원 감소했다. 통상 은행이 분기 말 연체채권 관리를 강화함에 따라, 연체율은 분기 중 상승했다가 분기 말 하락하는 경향을 보인다.

부문별로 보면 기업 대출과 가계대출 연체율이 나란히 상승했다. 먼저 지난 4월 말 기업 대출 연체율(0.68%)은 전월 말보다 0.06% 포인트 상승했다. 대기업대출 연체율이 0.13%로 0.02% 포인트 오르며 지난해 2월(0.18%) 이후 1년 2개월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중소기업 대출 연체율도 0.83%로 0.07% 포인트 올랐다.

가계대출 연체율도 전월 말 대비 0.02% 포인트 오른 0.43%를 기록했다. 주택담보대출 연체율이 0.01% 포인트 오른 0.30%에 그쳤지만, 이를 제외한 가계대출(신용대출 등)의 연체율은 0.07% 포인트 오른 0.86%를 기록했다.

금감원 관계자는 “적극적인 연체·부실채권 상·매각과 충당금 적립 확대 등 자산건전성 관리를 강화하겠다”며 “개인사업자 등 취약 차주의 채무부담 완화를 위해 연체 우려 차주 등에 선제적인 채무조정 활성화를 유도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김예슬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에디터 추천 인기 기사
많이 본 뉴스
121년 역사의 서울신문 회원이 되시겠어요?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