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기아, 재팬 모빌리티쇼에 동반 출격… 친환경차·PBV로 ‘난공불락’ 일본 시장 공략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하종훈 기자
하종훈 기자
수정 2025-10-30 01:07
입력 2025-10-30 00:57

‘디 올 뉴 넥쏘’ 공개, 밴 시장 진출

이미지 확대
정유석(오른쪽) 현대자동차 부사장과 시메기 토시유키 현대차 일본법인장이 29일 일본 도쿄 빅사이트에서 열린 ‘재팬 모빌리티쇼 2025’에서 ‘디 올 뉴 넥쏘’ 차량을 배경으로 기념 촬영하고 있다. 현대자동차 제공
정유석(오른쪽) 현대자동차 부사장과 시메기 토시유키 현대차 일본법인장이 29일 일본 도쿄 빅사이트에서 열린 ‘재팬 모빌리티쇼 2025’에서 ‘디 올 뉴 넥쏘’ 차량을 배경으로 기념 촬영하고 있다.
현대자동차 제공


현대자동차와 기아가 세계 5대 모터쇼 가운데 하나인 ‘재팬 모빌리티쇼 2025’에 20년 만에 함께 참가했다. 현대차그룹 차원에서 친환경차와 전기 목적기반차량(PBV)을 앞세워 난공불락인 일본 자동차 시장 공략에 총력을 기울이는 모습이다.

현대차는 29일 일본 도쿄 빅사이트에서 열린 이번 행사에서 수소 기술 개발 과정을 소개하고 현대차의 수소전기차(FCEV) ‘디 올 뉴 넥쏘’를 일본 시장에 최초로 공개했다. 7년 만에 완전 변경 모델로 선보이는 신형 넥쏘는 정지 상태에서 시속 100㎞까지 7.8초 만에 가속하고, 1회 충전 시 최대 720㎞까지 달릴 수 있다. 현대차가 다음 달 9일까지 열리는 재팬 모빌리티쇼에 참가한 것은 2013년 전신인 도쿄모터쇼 참가 이후 12년 만이고, 기아는 2005년 이후 20년 만의 복귀다. 정유석 현대차 부사장은 “내년 상반기에 디 올 뉴 넥쏘를 출시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현대차는 전기차 전용 플랫폼 E-GMP의 기술도 소개했다.

내년 일본 시장에 처음 진출하는 기아도 대표적 PBV인 PV5 전기차를 공개하고 일본 밴 시장 진출을 선언했다. PV5는 넓은 실내 공간을 자랑하고 회전 반경이 5.5m에 불과해 일본의 좁은 도로 환경에서도 편리하다.

일본은 외국 자동차 브랜드가 뿌리내리기 어려운 시장으로 통한다. 하지만 전기차 전환이 더디게 진행되는 일본 시장의 특성이 현대차그룹에는 앞으로의 성장 가능성에 있어 기회로 평가된다.



2009년 일본 시장에서 철수했던 현대차는 2022년 아이오닉5 등 전기차로 13년 만에 다시 진출했다. 올해 1~9월 누적 판매량은 759대로 지난해 연간 판매 대수(618대)를 뛰어넘었다. 다만 일본 내 현대차의 점유율은 수입차 시장으로만 범위를 좁혀도 0.29%이고 가격 경쟁력을 앞세운 중국 BYD의 같은 기간 판매량(2977)에도 뒤진다. 이에 현대차그룹은 현지 고객과의 접점을 늘리고 맞춤형 차량 구조를 적용한 PBV 사업을 점차 확대해 일본 사회와 함께 성장하는 글로벌 브랜드 이미지를 구축한다는 전략이다.

하종훈 기자
2025-10-30 1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에디터 추천 인기 기사
많이 본 뉴스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