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 3분기 기준 역대 최대 매출에도…美 관세 여파로 영업이익 1조원 줄었다

하종훈 기자
수정 2025-10-30 17:51
입력 2025-10-30 17:51
매출 8.8% 증가, 영업이익 29% 감소
관세 협상 타결로 4분기 반등 기대
경주 연합뉴스
현대자동차가 올해 3분기 역대 최대 매출을 기록했지만 미국의 25% 관세 여파로 영업이익은 1조원가량 감소했다. 다만 관세 협상 타결로 관세율이 15%로 줄면서 일본·유럽연합(EU) 브랜드와 동등한 조건에서 겨루게 돼 4분기 이후 실적 반등이 기대된다.
현대차는 30일 연결 기준 올해 3분기 영업이익이 2조 5373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9.2% 감소했다고 밝혔다. 매출은 46조 7214억원으로 지난해 동기 대비 8.8% 증가했다. 미국·유럽 등 주요 시장에서의 판매 호조와 우호적인 환율 효과 등으로 3분기 기준 최대 매출을 기록했지만, 최대 시장인 미국에서의 관세 부담이 지속되면서 영업이익은 지난해 3분기(3조 5809억원)보다 1조원가량 줄었다. 영업이익률도 2022년 3분기 이후 가장 낮은 5.4%로 떨어졌다.
현대차는 올해 3분기 글로벌 시장에서 103만 8353대를 판매하며 긍정적 흐름을 유지했다.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2.6% 증가한 수치다. 국내 시장에서는 6.3% 증가한 18만 558대가 팔렸고, 해외에서는 1.9% 증가한 85만 7795대의 판매량을 기록했다. 가격 인상을 억제해온 미국에서는 25만 7446대를 판매해 2.4% 늘었다.
현대차는 지난 3분기에만 관세로 인해 약 1조 8210억원의 영업이익 감소 효과가 있었다고 분석했다. 관세 영향이 시작된 올해 2분기에는 영업이익 감소분이 8282억원 수준이었는데, 관세 부과 전 쌓아둔 재고가 소진되면서 2배 이상의 타격을 입은 것이다. 다만 제조비 절감 등을 통해 비용의 60%가량을 만회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승조 현대차 재경본부장은 “한미간 관세 15% 최종 타결로 최고경영자(CEO) 인베스터 데이에서 말한 연도별 영업이익 목표 구간(매출액 성장 목표 5.0~6.0%, 영업이익률 목표 6.0~7.0%) 달성에 기여할 것으로 본다”고 전망했다. 이 본부장은 가격 인상 여부에 대해 “가격 요소는 계속 ‘패스트 팔로워’ 전략이었기 때문에 시장 모니터링 상황에 따라 결정할 것”이라며 “다만 고객 가치를 훼손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하겠다”고 했다.
하종훈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