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준우의 푸드 오디세이] 거친 메밀면과 강렬한 쓰유의 만남, 소바의 소소한 미학
수정 2025-08-27 01:01
입력 2025-08-27 00:09

살면서 어떤 장면은 이상하리만큼 잊혀지지 않을 때가 있다. 대단하거나 특별한 것도 아닌데 말이다. 처음 일본 도쿄 밤거리를 배회하다 우연히 불 켜진 소바집에 들렀을 때의 일이다. 손님이 없어 텔레비전을 보던 노년의 주인은 주문을 받더니 무심하게 주방으로 들어가 면을 뽑아 삶기 시작했다. 가게 안은 묘하리만큼 적막했고 오로지 노년의 주인과 한 청년이 주방에서 움직이는 소리만 들렸다. 그러다 흐르는 물에 면을 씻는 ‘찰랑찰랑’ 소리가 가게를 가득 메우는 순간 현실감이 사라지는 듯한 기분이 들었다. 정작 그 소바의 맛은 기억나지 않지만 그 소리만은 지금도 또렷하다.
어느덧 냉면의 계절이 막바지다. 냉면의 정수는 육수에 있다고 여겼었지만 요즘은 면에 좀더 관심이 가 있다. 쫄깃함보다 서걱거리는 거친 면의 식감이 그리워지면 장사진을 이룬 냉면집보다 소바집으로 발걸음을 옮긴다. 보통의 냉면에서는 느끼기 어려운, 그러나 말로는 명확히 설명하기 힘든 어떤 결핍을 채우고 싶어서다.

소바는 이름 그대로 메밀을 주재료로 한다는 점에서 냉면과 닮았지만, 그 형식과 문화는 전혀 다르다. 굳이 공통점을 찾자면 두 음식 모두 ‘대체 무슨 맛으로 먹는 걸까’라고 고개를 갸웃하는 파와 ‘알면 알수록 깊이가 무궁무진하다’고 열광하는 파로 나뉜다는 점 정도일까. 한국에서 냉면이 그렇듯 일본에서 소바 역시 뚜렷한 마니아층이 존재한다는 건 흥미로운 지점이다.
메밀은 일본 농업의 주류가 아니었다. 한국처럼 벼농사가 중심이었지만 고온다습한 여름과 좁은 경작지는 벼 재배에 한계를 드러냈다. 산간 지역에서 대체 곡물로 떠오른 것이 메밀이었다. 생육 기간이 짧고 척박한 토양에서도 자라 구황작물로 유용했다. 메밀은 단백질 함량은 높지만 글루텐이 없어 반죽이 잘 만들어지지 않는다는 단점이 있어 헤이안 시대까지는 국수가 아닌 죽이나 ‘소바가키’라는 덩어리 형태로 소비됐다.
본격적으로 소바가 국수로 자리잡은 것은 16세기 말 에도 시대였다. 밀가루 제면 기술이 보급되면서 메밀가루에 소량의 밀가루를 섞어 면을 뽑는 ‘니하치’ (二八) 비율이 정착했다. 메밀의 특성을 잘 살리면서도 반죽될 수 있는 양만큼 밀가루를 섞어 반죽했고, 칼로 잘라 만든 면 형태의 소바를 ‘소바키리’라고 불렀다. 당시 에도는 대도시였던 만큼 스시, 덴푸라와 함께 소바키리는 바쁜 도시인들이 빠르게 먹을 수 있는 일종의 패스트푸드 역할을 했다. 소바키리가 인기를 얻으면서 에도 사람들은 말을 줄여 ‘소바’로 통칭하게 됐고 오늘날까지 이르게 된다.
소바의 특징은 메밀의 맛과 향뿐 아니라 국물에 담가 내는 다른 면 요리와 달리 진한 ‘쓰유’에 찍어 먹는 형식에 있다. 물론 뜨거운 국물을 부은 ‘가케소바’, 청어를 올린 교토식 ‘니싱소바’처럼 국물에 담가 내는 종류도 있지만, 일본인들이 소바라고 하면 차갑게 헹군 면을 쓰유에 찍어 먹는 ‘자루소바’나 ‘모리소바’를 가장 먼저 떠올린다.

소바가 이런 형식을 갖추게 된 데는 재료와 환경의 영향이 컸다. 메밀로 만든 면은 글루텐이 부족하다 보니 뜨거운 국물에 오래 담가 두면 퍼지고 끊어져 질감이 무너지고 향도 희미해진다는 단점이 있다. 이를 막기 위해 면을 따로 걸러내 짧게 국물에 적셔 먹는 방식이 발달했다. 빠르고 강렬한 걸 원하는 도시 사람들의 요구에 맞춰 때마침 에도에 유행하던 ‘가쓰오부시’와 간장을 진하게 우려낸 쓰유가 결합해 지금의 소바 형태가 만들어졌다.
반죽을 빚고 면을 만드는 과정은 고되지만 전체 공정을 놓고 본다면 그리 복잡한 요리는 아니다. 그렇다 보니 미세한 디테일의 차이를 보여 주기에 적합한 장르다. 냉면 마니아들이 면의 메밀 함량을 따지고 육수의 베리에이션을 구분하는 것처럼 소바도 메밀 함량과 면의 굵기, 쓰유의 농도와 맛 등으로 디테일을 얼마든지 다르게 할 수 있다. 그만큼 다양한 이야기와 디테일을 즐기는 재미를 느낄 수 있는 음식이기도 하다.
에도 시대에 대중적 인기를 누렸던 소바는 메이지 이후 근대화와 함께 기계 제면 기술이 발달하면서 빠른 생산과 대량 유통의 길로 들어섰다. 편해진 만큼 면발의 개성이 줄어들고 메밀 고유의 향도 희미해졌다. 라멘 같은 강렬한 면 요리가 대세가 되면서 소바는 점차 옛날 음식으로 밀려났지만 장인의 가치를 주목하는 트렌드와 함께 다시금 주목받게 된다. 오늘날 한편에는 빠르고 값싸고 편리한 대중 소바가, 한편에는 직접 메밀을 갈고 전통 반죽법을 지키는 장인의 솜씨가 담긴 고급 소바가 자리잡고 있다. 먹는 사람 입장에서는 선택지가 많아 감사할 따름이다.
글을 쓰고 나니 추억이 하나 떠오른다. 어릴 적 외삼촌네가 하던 ‘모밀국수’ 전문점의 풍경이다. 소바를 한국식으로 현지화한 음식이었다. 면은 부드럽고 쓰유는 짜지 않고 달콤해 국물처럼 들이켤 수 있을 만큼 넉넉히 나왔다. 알고 보니 ‘모밀’은 메밀의 함경도 사투리였다. 어린 마음에 ‘모빌’을 떠올리며 킥킥 웃던 기억도 난다. 지금은 모밀이라는 단어를 거의 볼 수 없지만 가끔 냉면이나 소바보다 그 시절의 모밀국수가 그리울 때가 있다. 맛보다 추억을 먹고 싶어지는 걸 보니 나이를 먹어가고 있구나 싶다.
장준우 셰프 겸 칼럼니스트

2025-08-27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