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나물 반찬 인심

전경하 기자
수정 2025-09-24 01:15
입력 2025-09-24 01:15

고향 친구들과 1박 2일 여행을 하면서 남원에서 한식집을 두 군데 갔다. 두 곳 모두 나물 반찬은 맛있었지만 인심이 달랐다. 7명이서 3명과 4명으로 나눠 각각 한 테이블에 앉았는데, 한곳은 반찬을 한 젓가락이면 다 먹을 수 있을 정도만 줬다. 더 먹으려면 종업원을 불러야 했다. 다시 갖다 주는 양도 여전히 적었다. 다른 한곳은 더 먹고 싶으면 직접 가져다 먹을 수 있었다. 남원을 또 가게 된다면 그 음식점으로 갈 것 같다.
나물 반찬은 준비에 시간이 제법 걸린다. 씻고 다듬고 삶거나 볶고 무치고. 한번에 많이 해 두면 좋겠지만 며칠 안에 먹어야 맛있다. 들어간 시간이나 노동에 비해 만족을 느끼는 시간이 짧아 집에서 나물 반찬을 안 만든 지 오래됐다. 어쩌다 한식집에 가게 되면 나물 반찬 기억이 좋은 곳으로 간다.
통상 나물 재료는 고기나 생선보다는 싸다. 음식점이면 한번에 많이 만들어도 며칠 안에 소비가 가능할 수 있다. 나물 반찬 인심을 마케팅 차원에서 고려해 보면 어떨까. 손님 많은 시간에 종업원은 덜 바쁘고 손님 만족도는 높아질 수 있는 방법일 듯하다.
전경하 논설위원
2025-09-24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