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 ‘데이터 저널리즘’ 콘퍼런스
BBC “다국어 번역 등 인력난 숨통AI가 쓴 어색한 홍보물에 항의도”
데이터 분석·반복 업무 AI에 맡겨
기자 4~5명 신생 언론사 퓰리처상
“AI는 인간 역량 끌어올리는 도구”

“인공지능(AI)에 반복 업무를 주고 사람에게는 핵심 업무를 맡긴다.”
지난 8~10일(현지시간) 근대 민주주의가 태동한 그리스 아테네대학에서 열린 ‘유럽 데이터 및 컴퓨테이셔널 저널리즘 콘퍼런스’에서는 AI로 인한 언론의 변화와 그 전망에 대한 집중적 토론이 이뤄졌다.
미국을 포함한 유럽 각국에서 모인 학자와 기자들은 AI를 수용하는 각 언론사의 사례를 소개하며 한결같이 인간의 개입을 배제하면 안 된다면서 ‘휴먼 인 더 루프’(Human in the loop)를 강조했다.
로라 엘리스 BBC 기술 예측 책임자는 AI 사용에 따른 성공과 실패담을 솔직하게 털어놓았다. 그는 “지난해 3월 BBC의 간판 드라마 ‘닥터 후’를 홍보하는 이메일에 생성형 AI를 사용했다가 시청자들의 항의를 받고 중단해야만 했다”고 설명했다. AI가 작성한 어색하고 비인간적인 문체에 불쾌함을 느낀 시청자들이 격렬하게 항의했고, AI를 사용할 때는 구체적으로 설명할 필요가 있다는 교훈을 얻었다고 엘리스는 말했다.

반면 AI 덕분에 40개 이상의 언어로 방송하고 있는 BBC는 이전에 인력 부족으로 하지 못했던 폴란드어 기사의 영어 번역 서비스를 제공하게 됐다. 또 사각지대에 있던 지방의회도 지역 신문 기사를 AI로 압축해 보도할 수 있었다.
특히 기사를 음성으로 제공할 경우 지역 방송 기자의 음성을 AI로 학습시켜 사투리와 억양까지 살렸다. 축구 소식을 전하는 ‘마이 클럽 데일리’ 음성 서비스는 리버풀팀의 뉴스를 완벽한 리버풀 액센트로 전해 청취자들의 신뢰를 얻고 있다.
셰릴 필립스 스탠퍼드대 교수는 AI를 이용해 지역 언론 협력 모델을 구축했다. 4개에서 많게는 20개의 언론사가 협력해 마약성 진통제 오피오이드 과다 복용 실태, 자격을 박탈당한 ‘떠도는 경찰’ 프로젝트 등을 공동 보도했다.
필립스 교수는 “AI가 데이터 분석이라는 ‘무거운 짐’을 맡아 주기 때문에 참여 기자가 4~5명으로 적었던 신생 언론사 ‘볼티모어 배너’도 오피오이드 과다 복용 조사라는 복잡한 분석 프로젝트에 참여해 퓰리처상을 받을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AI가 인간을 대체하리라는 전망에 그는 “AI는 인간의 역량을 끌어올리는 도구”라고 강조했다. 필립스 교수는 “인턴 기자가 하던 일정 입력과 같은 반복 업무는 AI에 맡기고, 대신 고참 선배와 함께 인터뷰에 나서라고 시키겠다”고 말했다.
본 기사는 한국언론진흥재단의 지원을 받아 작성되었습니다.
글·사진 아테네 윤창수·전준영 기자
2025-09-24 1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