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상) ‘인민의 무덤’ 악몽 현실로…‘탑승자 전원 사망’ 러 여객기 추락 현장 공개 [포착]

송현서 기자
송현서 기자
수정 2025-07-24 18:19
입력 2025-07-24 18:18
이미지 확대
러시아 현지시간으로 24일 안가라 항공 소속 An-24 기종 여객기가 극동 지역 하바롭스크에서틴다로 향하던 도중 종착지 인근에서 추락했다. 사진은 추락 현장. 국영 방송 RT 제공
러시아 현지시간으로 24일 안가라 항공 소속 An-24 기종 여객기가 극동 지역 하바롭스크에서틴다로 향하던 도중 종착지 인근에서 추락했다. 사진은 추락 현장. 국영 방송 RT 제공


러시아 동부 아무르주(州)에서 실종됐던 여객기가 결국 추락한 채 발견됐다. 사고기에 탑승해 있던 탑승객과 승무원은 전원 사망했다.

러시아 안가라 항공 소속 An-24 기종 여객기는 이날 극동 지역 하바롭스크에서 틴다로 향하던 도중 종착지 인근에서 추락한 것으로 알려졌다.

구조 당국에 따르면 사고기는 틴다 공항에 착륙하려는 첫 번째 시도가 실패한 뒤 두 번째 시도를 하던 중에 통신이 끊어졌다.

이미지 확대
러시아 현지시간으로 24일 안가라 항공 소속 An-24 기종 여객기가 극동 지역 하바롭스크에서틴다로 향하던 도중 종착지 인근에서 추락했다. 국영 방송 RT 제공
러시아 현지시간으로 24일 안가라 항공 소속 An-24 기종 여객기가 극동 지역 하바롭스크에서틴다로 향하던 도중 종착지 인근에서 추락했다. 국영 방송 RT 제공


러시아 국영 타스 통신은 24일(현지시간) “구조 당국의 헬리콥터가 틴다시에서 15㎞ 떨어진 산등성이에서 불에 탄 안토노프 An-24 여객기 동체를 발견했다”면서 “초기 보고서 상으로 생존자는 없다”고 전했다.

이어 “구조 당국은 사고기가 시야가 좋지 않은 상황에서 산등성이에 부딪힌 것으로 추정하며 조종사의 과실이 있었을 가능성도 배제하지 않고 있다”고 덧붙였다.

사고 기체인 안토노브 An-24는 현재 비행 중인 여객기 중에선 전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기종으로 꼽힌다. 소련 시절 안토노프사가 1957년 설계해 2년 뒤 실제 비행에 투입됐고 1978년 단종됐다.

이미지 확대
러시아 안가라 항공 An-24 기종 자료사진. 기사와 관계 없음
러시아 안가라 항공 An-24 기종 자료사진. 기사와 관계 없음


An-24는 소련 시절에도 잦은 항공 사고를 일으켜 ‘인민의 무덤’이라는 별명으로 불리기도 했다. 2000년대 이후 알려진 사고로는 ▲2004년 우즈베키스탄(37명 사망) ▲2005년 적도기니(60명) ▲2005년 러시아(29명) ▲2006년 헝가리(42명) ▲2007년 캄보디아(22명) 등이 있다.

사고기를 운용해온 안가라 항공은 이르쿠츠크에 본사를 둔 중소형 항공사로, 중국 만주행을 제외하고 러시아 국내 노선만을 운영하고 있다.

이번 사고의 정확한 원인은 밝혀지지 않은 가운데, 기체 노후화가 사고에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도 제기된다. 러시아 항공사들은 우크라이나 전쟁이 시작된 뒤 서방 국가들의 대러 제재 강화로 항공기 보수‧유지에 어려움을 겪어 왔다.

송현서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에디터 추천 인기 기사
많이 본 뉴스
121년 역사의 서울신문 회원이 되시겠어요?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