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 번째 에미상 기대 안 해… K콘텐츠 홍보 계기 됐으면”

이은주 기자
수정 2025-07-04 00:30
입력 2025-07-04 00:30
‘오겜’ 대장정 끝낸 배우 이정재
“우린 말이 아냐… 가장 중요 장면마지막 대사 빈칸은 관객의 몫”

“‘오징어 게임’은 제 인생에서 빠질 수 없는 작품입니다. 덕분에 국내외에서 수없이 다양한 경험을 해 볼 수 있었으니까요.”
약 4년에 걸친 ‘오징어 게임’의 여정을 마친 배우 이정재는 시원섭섭한 얼굴이었다. 3일 서울 종로구의 한 카페에서 만난 그는 “5~6년 동안 촬영하면서 배우, 스태프들과 추억이 많이 쌓였고 호흡이 잘 맞아서 촬영장에 갈 때마다 기대가 컸는데 이제 끝이라고 생각하니 아쉽다”고 말문을 열었다.
넷플릭스 최고 흥행 시리즈로 꼽히는 ‘오징어 게임’은 지난달 27일 시즌3를 공개하고 대장정의 마침표를 찍었다. 시즌3는 공개 첫 주에 넷플릭스 가입 93개국에서 모두 1위를 기록했다. 이정재는 도박에 빠져 패가망신한 뒤 죽음의 서바이벌 게임에 참가하게 된 성기훈을 연기했다. 기훈은 우여곡절을 겪으며 시스템에 저항하는 캐릭터가 된다.
“‘시즌1에서는 기훈의 여러 감정 변화로 인해 달라지는 선택을 그렸다면 시즌2, 3에서는 강한 목표를 지닌 확고한 모습을 표현하려 했어요. 결과적으로 기훈은 극에 나오는 여러 캐릭터들을 하나의 그물망처럼 담아 주는 역할이었다고 생각합니다.”
이정재는 “기훈이 변화되는 분기점을 세밀하게 잡아가기 위해 황동혁 감독과 이야기를 많이 나눴다”면서 “결국 ‘오징어 게임’은 사람은 누구나 존중받아야 하고 부끄럽지 않은 삶을 살기 위해 어떤 선택을 할 것인가에 관한 이야기”라고 말했다. 특히 마지막 회에서 최후를 앞둔 기훈이 “우리는 말이 아니야. 사람이야. 사람은…”이라고 내뱉는 장면에서 이정재는 만감이 교차하는 인물의 감정을 명연기로 표현했다.
“가장 중요한 장면이라 다양한 버전으로 촬영했어요. 마지막 대사가 마무리가 안 된 것에 대해 처음엔 저도 궁금했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보시는 분들이 빈칸을 채워 보는 게 제일 좋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시즌을 통틀어 가장 어려운 게임으로 징검다리 게임을 꼽은 그는 “더미 인형으로 만든 아기가 실제와 똑같아서 섬뜩했는데 나중에 정이 들더라”면서 “최고의 빌런은 게임을 만든 사람이 아닐까 싶다”고 말했다.
2022년 시즌1으로 에미상 남우주연상을 수상한 이정재는 시즌3로 두 번째 수상 가능성이 제기된다.
“두 번째 에미상은 전혀 기대하고 있지 않습니다. 그보다는 ‘오징어 게임’은 끝났지만 다양한 한국 콘텐츠를 보는 문이 더 활짝 열릴 수 있도록 앞으로도 좋은 작품을 만들어야겠다는 생각이 큽니다.”
이은주 기자
2025-07-04 2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