루비오, 닷새 앞두고 방한 취소… ‘한미 정상회담’ 일정 조율 차질

허백윤 기자
수정 2025-07-04 00:27
입력 2025-07-04 00:27
외교부 “美 내부 사정” 방일도 취소
7일 트럼프·네타냐후 회담 등 영향
10일 ARF 외교장관 회의는 참석

다음주로 전망됐던 마코 루비오 미국 국무장관의 방한이 무산됐다. 방한 시 탄력을 받을 것으로 예상됐던 관세 협상 및 한미 정상회담 준비 관련 조율도 차질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이재웅 외교부 대변인은 3일 정례브리핑을 통해 “한미는 루비오 장관의 방한 가능성을 열어 두고 협의해 왔지만 미측의 내부 사정상 조만간 방한은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이어 “한미는 고위급 인사 교류에 대해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협의해 나갈 예정”이라고 밝혔다.
당초 양국은 루비오 장관이 오는 10일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에서 열리는 아세안지역안보포럼(ARF) 외교장관 회의 참석을 계기로 8일 방한하는 방안을 유력하게 검토해 왔다. 일본을 거쳐 한국을 찾을 계획이라고 알려지기도 했는데 일본 방문 역시 취소된 것으로 전해졌다.
정부가 ‘조만간’ 방한은 어려울 것이라고 공식 발표하며 루비오 장관이 ARF 참석 이후에도 당분간은 한국을 찾지 않을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미국 언론 등에 따르면 루비오 장관의 방한이 어려워진 것은 중동 문제 등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오는 7일(현지시간) 백악관에서 베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와 회담하고 휴전 문제 등을 논의할 계획이라고 한다. 루비오 장관은 백악관 국가안전보장회의(NSC) 보좌관도 겸하고 있어 이 일정에 관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또 트럼프 정부가 각국과 협상 중인 상호관세의 유예 시한이 8일인 점도 연관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트럼프 대통령은 유예기간의 연장은 없다고 최근 못박았다. 외교부 당국자는 구체적인 사유를 밝히지 않으면서도 “미측이 어떤 내부 사정인지에 대해 우리 측에 충분히 설명했다”고 전했다.
당초 루비오 장관이 방한하면 양국은 이르면 이달 말쯤 개최하는 것을 목표로 준비 중인 한미 정상회담에 대해 조율할 것으로 전망됐다. 정부는 루비오 장관의 일정이 무산된 것과 별개로 조속한 한미 정상회담 개최를 위해 미국과 계속 소통 중이라는 입장이다.
허백윤 기자
2025-07-04 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