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 정상회담 잘했다” 53.1%…60.7%는 “성과 있었다”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김소라 기자
김소라 기자
수정 2025-08-27 10:29
입력 2025-08-27 10:29

“가장 큰 성과는 조선업·제조업 등 경제 협력 확대”

이미지 확대
이재명 대통령, 트럼프 대통령 집무실에서 악수
이재명 대통령, 트럼프 대통령 집무실에서 악수 이재명 대통령이 25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DC 백악관 오벌오피스에서 열린 한미 정상회담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악수하며 미소짓고 있다. 2025.8.26 공동취재


국민 절반 이상이 지난 25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DC 백악관에서 열린 이재명 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의 첫 정상회담을 긍정적으로 평가한다는 여론조사 결과가 27일 나왔다.

리얼미터가 에너지경제신문 의뢰로 전날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507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 결과에 따르면 응답자의 53.1%이 한미 정상회담에 대해 ‘잘했다’고 평가했다. 구체적으로 “매우 잘했음”이 37.6%, “잘한 편”이 15.6%으로 집계됐다.

한미 정상회담을 부정적으로 평가한 응답자는 41.5%로, 긍정 평가가 부정 평가를 오차 범위 밖인 11.6%포인트 많았다. “잘 모름”이라고 응답한 사람은 5.4%였다.

지역별로는 광주·전라(66.3%)와 경기·인천(57.5%) 지역에서 긍정 평가가 특히 높았다. 반면 서울(긍정 45.9%·부정 46.6%)과 대전·충청·세종(긍정 48.9%·부정 48.3%), 대구·경북(긍정 47.0%·부정 44.0%)에서는 긍정 평가와 부정 평가가 팽팽하게 맞섰다.

연령별로는 40대(67.5%)와 50대(67.8%)에서 긍정 평가가 높았던 반면 18~29세(58.8%)에서는 전 연령대 중 가장 높은 부정 평가 비율을 보였다. 70세 이상(긍정 37.8%·부정 46.8%)에서도 부정 평가가 우세했다.

이념 성향에 따라서도 평가가 엇갈려 진보층에서는 긍정 평가가 87.8%로 압도적이었던 반면 보수층은 66.4%가 부정적으로 평가했다.

또 응답자의 60.7%는 이번 정상회담에 대해 “성과가 있었다”고 평가해 “성과가 없다”(34.6%)는 응답을 크게 앞섰다.

구체적으로는 ‘조선업·제조업 등 경제 협력 확대’(18.0%)가 가장 큰 성과로 꼽혔다. 이어 ‘양국 정상 간의 개인적 신뢰 구축’(14.0%), ‘북미 대화 및 한반도 평화 프로세스 진전’(13.9%), ‘한미일 동맹 간 협력 강화’(10.5%), ‘방위비 분담금 및 주한미군 문제 협상’(4.3%) 순이었다.



이번 조사는 무선(100%) 전화 RDD 자동응답(ARS) 조사 방식으로 실시됐다. 전체 응답률은 5.3%이었으며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4.4%p다.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 참조.

김소라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에디터 추천 인기 기사
많이 본 뉴스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