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유해 성분 적발 해외직구 식품, 10개 중 1개꼴 마약 성분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이현정 기자
이현정 기자
수정 2025-09-24 16:58
입력 2025-09-24 16:58
이미지 확대
지난 3월  18일 관세청이 인천 중구 운서동 인천공항세관 특송물류센터에서 적발된 마약류 성분이 함유된 불법 의약품을 공개하고 있다. 영종도 연합뉴스
지난 3월 18일 관세청이 인천 중구 운서동 인천공항세관 특송물류센터에서 적발된 마약류 성분이 함유된 불법 의약품을 공개하고 있다.
영종도 연합뉴스


최근 해외직구로 유통되는 식품에서 마약류 성분이 검출되며 소비자 불안이 커지고 있다. 24일 서미화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올해 1~8월 해외직구 식품에서 위해 성분이 검출된 사례는 337건으로 지난해 검출 건수(344건)를 넘어섰다. 이 중 37건(11%)은 대마 등 마약 성분이었다. 10개 중 1개꼴이다.

유형별로는 의약 성분이 205건으로 가장 많았고, 먹을 수 없는 원료 사용 80건, 기타 부정 물질이 15건이었다. 특히 마약 성분은 2021~2023년까지는 적발되지 않다가 지난해부터 늘고 있는 추세다.

해외직구 식품에서 위해 성분 검출은 꾸준히 이어지고 있다. 2021년부터 올해 8월까지 최근 5년간 총 1531건이 적발됐다. 제품별로는 다이어트 효과를 내세운 제품이 379건으로 가장 많았고, 성기능 개선 제품 203건, 근육 강화 제품 200건이 뒤를 이었다. 이 외에도 ‘건강 효과’를 표방한 제품들에서 다수의 위해 성분이 검출됐다.

국가별로는 미국산 제품이 1215건(79.4%)으로 압도적으로 많았다. 식약처 관계자는 “미국에서 직구되는 제품은 아마존이나 이베이 같은 대형 온라인몰을 통해 들어오는 경우가 많다”고 설명했다.



식약처와 식품안전정보원은 해외직구 식품의 안전성 확보를 위해 구매 검사를 실시하고 있지만, 해외 직구가 늘며 관리 사각지대가 커지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서 의원은 “식약처는 유해 성분이 들어간 제품에 대한 사전 차단과 사후 관리를 강화해야 한다”며 “소비자들도 구매 시 안전성 정보를 반드시 확인하는 등 주의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세종 이현정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에디터 추천 인기 기사
많이 본 뉴스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