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조물 해체 취약점 보강·안전조치 이행 확인해야”… 전문가·업계 주장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박정훈 기자
박정훈 기자
수정 2025-11-07 16:48
입력 2025-11-07 16:48

구조물 붕괴 원인 놓고 전문가·업계, 사전 준비 소홀 의문 제기
울산화력 보일러 타워, 공작물로 분류돼 해체 신고·대상 제외

이미지 확대
지난 6일 발생한 울산화력발전소 보일러 타워 붕괴 사고 현장. 붕괴된 5호기를 중심으로 좌우에 4호기와 6호기가 위치해 있다. 울산 박정훈 기자
지난 6일 발생한 울산화력발전소 보일러 타워 붕괴 사고 현장. 붕괴된 5호기를 중심으로 좌우에 4호기와 6호기가 위치해 있다. 울산 박정훈 기자


“구조물 해체는 위험이 큰 만큼 철저한 사전 계획을 세워 가이드라인 지켜야 합니다.”

건축 전문가들은 울산화력발전소 보일러 타워 붕괴 원인에 대해 취약점 보강·안전 조치 이행 여부를 확인해야 한다고 밝혔다.

무너진 보일러 타워는 1981년 준공된 이후 40년가량 스팀으로 터빈을 돌려 전기를 생산하다가 2021년부터 사용이 중지된 철재 구조물이다. 여기에다 보일러 타워는 일반건축물이 아닌 공작물로 분류돼 지자체에 해체 신고·허가대상도 아닌 것으로 확인됐다.

이번 사고는 발파업체인 (주)코리아카코가 해체 공사 시행을 맡은 HJ중공업으로부터 하도급을 받아 지난달부터 취약화 작업을 하던 중 사고가 났다. 취약화 작업은 한 번에 무너뜨리려고 건물 사이에 있는 기둥과 지지대, 받침대 등 일부 구조물을 잘라내는 작업이다.

업계와 전문가들은 철거 전 사전에 안전사고 예방을 위해 거쳐야 하는 구조 검토 등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거나 애초 철거계획대로 이행하지 않아서 사고가 발생했을 가능성을 제기하고 있다.

김동건 동아대 건축공학과 교수는 “건축물 해체는 위험성이 높기 때문에 사전에 해체 계획서를 세운 뒤 지자체 심의위원회를 받도록 철저하게 관리를 하고 있다”며 “구조적인 검토와 단계별 계획을 담은 가이드라인을 꼭 지켜야 한다”고 지적했다. 다른 전문가들도 “구조물이 넘어갈 것에 대비해 와이어를 걸거나 레커로 지지하는 등 무너질 위험을 사전에 차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실제로 업계에서는 작업 중 한쪽에 하중에 더 많이 실리면서 무게중심이 흔들려 사고가 났을 가능성도 있는 것으로 추정한다. 소방 당국도 현장 브리핑에서 “구조물 기둥 등을 다 자르고 하기 때문에 거기에서 흔들렸다든지, 기울어졌다든지 여러 문제가 있을 것 같다”고 밝혔다.

따라서 작업 중 중심이 흔들려 한쪽으로 무게가 실렸더라도 주변에서 보일러 타워가 넘어지지 않도록 와이어가 잡아 주는 설비나 받쳐주는 장치가 있었는지를 따져봐야 할 것으로 보인다.

업계 한 관계자는 “붕괴 가능성에 대비해 보일러 타워 무게를 지탱해주는 와이어 작업을 했는지 등이 사고 원인에 중요한 지점이 될 수 있다”며 “와이어 작업에 시간이 오래 걸리기 때문에 이를 생략했는지는 확인해 봐야 한다”고 말했다.

무너진 보일러 타워는 준공 후 44년이 지난 상태에서 해체 작업에 들어갔다. 붕괴한 5호기를 포함해 4호기와 6호기 등 총 3개의 보일러 타워가 30m 정도 간격을 두고 나란히 늘어서 있다. 오는 16일 발파를 통해 모두 철거될 예정이었다. 이 가운데 4호기는 취약화 작업을 완료했고, 6호기는 취약화 전 상태인 것으로 알려졌다.

고용노동부와 경찰은 압수수색 등 강제 수사를 적극 추진해 사고 원인을 밝힐 계획이다.

울산경찰청은 이번 사고와 관련해 70여명의 수사전담팀을 구성했다. 전담팀은 업무상 과실치사 혐의 등을 염두에 두고, 보일러 타워 철거 작업을 맡았던 원하청 계약 관계, 구체적인 작업 내용 등을 확인할 것으로 보인다.

울산 박정훈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에디터 추천 인기 기사
많이 본 뉴스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