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젠 치아에도 ‘문신’하는 시대”… MZ세대들 ‘의지 각인’ 유행 [여기는 중국]

수정 2025-09-20 17:00
입력 2025-09-20 17:00
이미지 확대
중국에서 치아에 씌우는 크라운에 원하는 문구를 새기는 일명 ‘치아문신’이 유행하고 있다. 상유신문·마이크로소프트 코파일럿
중국에서 치아에 씌우는 크라운에 원하는 문구를 새기는 일명 ‘치아문신’이 유행하고 있다. 상유신문·마이크로소프트 코파일럿


“이 악물고 버텨서 원하는 걸 이뤄내자.”

중국의 젊은 세대가 조용한 각오를 치아에 새기고 있다. 최근 상유신문에 따르면 치아 위에 문구나 그림을 새겨 넣는 ‘치아 문신’이 조용한 유행처럼 번지고 있다.

피부에 새기는 문신처럼, 치아에 ‘发财’(돈 벌자)나 ‘上岸’(합격) 같은 문구를 3차원(3D) 프린트 크라운으로 넣는 방식이다. 이른바 ‘의지 각인’으로 불리는 이 현상은 특히 젊은 층 사이에서 확산 중이다.

상하이의 한 치과 의사는 “단순히 씌우는 지르코니아 크라운보다 문구나 그림이 들어간 커스텀 크라운을 원하는 환자들이 많아졌다”며 “치아 하나에 인생 계획까지 담고 간다”고 전했다.

가장 인기 있는 문구는 ‘发财’와 ‘上岸’, 그리고 ‘慎’(삼갈 신) 등이다. 이제는 말로 하지 않고도, 치아에 다짐을 새기는 시대가 된 것이다.

“치아도 셀프 브랜딩 시대”

실제로 소셜미디어(SNS)에는 ‘慎’이라는 글자가 선명하게 새겨진 치아 사진이 올라와 화제가 되기도 했다. 한 이용자는 “크라운을 하러 갔다가 무료로 각인이 가능하다고 해서 냉큼 넣었다”며 “솔직히 멋지지 않나요? 치아도 이제 셀프 브랜딩 시대”라고 말했다.

이 ‘치아 문신’은 3D 프린트로 제작하는 지르코니아 크라운을 통해 이뤄진다. 디자인부터 커팅, 각인까지 모두 맞춤 제작이 가능하며, 광둥성의 한 치과에서는 “항공 소재 기술을 접목한 초정밀 지르코니아 크라운으로 양면 각인도 가능하다”고 소개했다. 주로 커플, 수험생, 자기계발에 힘쓰는 직장인들이 찾고 있다.

가격은 개당 2000위안(한화 약 39만원)이며 각인은 무료다. ‘의지’는 무료지만, ‘각인’은 유료인 셈이다. 다만 일부 의료진들은 “크라운은 본래 강도와 내구성이 중요한데 표면에 문양을 새기면 강도가 약해져 장기적으로 문제가 생길 우려가 있다”며 주의를 당부했다.

이미지 확대
글자가 프린팅된 인공 치아. 상유신문
글자가 프린팅된 인공 치아. 상유신문


“이 악물어야만 성공하는 사회” 단면

‘치아 문신’ 유행을 두고 일각에서는 “허세”라는 비판도 있지만, “내가 나에게 건네는 응원의 한마디”라거나 “표현의 자유”라며 긍정적으로 받아들이는 반응이 더 많다. ‘이 악물고 버텨야만 성공할 수 있다’는 인식이 팽배한 사회에서, 젊은 세대에게 ‘간절함’은 일상이 되었다. 이들에게 치아에 새기는 ‘문신’은 입 밖으로 꺼내기 힘든 다짐을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한 방법으로 읽히고 있다.

이민정 중국 통신원 ymj0242@naver.com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에디터 추천 인기 기사
많이 본 뉴스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