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임기 내 띄운다” 美 6세대 전투기 F-47 제작 돌입 [핫이슈]

윤태희 기자
윤태희 기자
수정 2025-09-23 10:29
입력 2025-09-23 10:29

美 공군 “中 분석가들 렌더링만 들여다본다”…실제 기체는 비공개

이미지 확대
성조기 앞에 선 F-47 렌더링. 미국은 이 전투기를 차세대 공중지배(NGAD) 프로그램의 핵심 전력으로 육성하고 있다. 미 공군 제공
성조기 앞에 선 F-47 렌더링. 미국은 이 전투기를 차세대 공중지배(NGAD) 프로그램의 핵심 전력으로 육성하고 있다. 미 공군 제공


미 공군이 6세대 전투기 F-47 제작에 들어갔다. 첫 시험비행은 2028년으로 예정됐다. 미국은 미래 공중전 우위를 확보하려는 의지를 드러냈다.

공식 발표와 현장 발언
이미지 확대
성조기 앞에 선 F-47 렌더링. 미국은 6세대 전투기 개발을 통해 공중 우위를 이어가겠다는 의지를 드러냈다. 출처=보잉 디펜스 엑스
성조기 앞에 선 F-47 렌더링. 미국은 6세대 전투기 개발을 통해 공중 우위를 이어가겠다는 의지를 드러냈다. 출처=보잉 디펜스 엑스


미국 군사 전문 매체 워존(TWZ)은 22일(현지시간) “보잉이 F-47 첫 기체 생산을 시작했으며 공군은 2028년 시험비행을 추진한다”고 보도했다. 같은 날 메릴랜드 내셔널 하버에서 열린 ‘항공·우주·사이버 콘퍼런스’에서 데이비드 올빈 공군 참모총장은 “발표 몇 달 만에 제작을 시작했다”며 “우리는 반드시 2028년 첫 비행을 달성하겠다”고 밝혔다.

트럼프 임기 내 목표
이미지 확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지난 3월 21일(현지시간) 백악관에서 6세대 전투기 F-47을 직접 공개했다. 이 발표로 보잉이 사업자로 최종 확정됐다. 로이터 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지난 3월 21일(현지시간) 백악관에서 6세대 전투기 F-47을 직접 공개했다. 이 발표로 보잉이 사업자로 최종 확정됐다. 로이터 연합뉴스


지난 3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보잉을 차세대 전투기 사업자로 직접 발표했다. 그는 F-47을 행정부의 핵심 국방 프로젝트로 규정했다. 공군은 임기 종료일인 2029년 1월 20일 이전 시험비행을 약속했으며 이번 발표로 목표를 2028년으로 앞당겼다.

이미지 확대
미 공군의 5세대 전투기 F-22 랩터(앞)와 F-35A(뒤). 두 기종은 현재 미국의 핵심 공중 전력으로, F-47은 이들을 잇는 차세대 후계기로 개발되고 있다. 미 공군 제공
미 공군의 5세대 전투기 F-22 랩터(앞)와 F-35A(뒤). 두 기종은 현재 미국의 핵심 공중 전력으로, F-47은 이들을 잇는 차세대 후계기로 개발되고 있다. 미 공군 제공


F-47은 F-22 랩터의 뒤를 잇는 차세대 공중 우세 전투기로 기획됐다. 공군은 F-35와 함께 현역을 이루는 5세대 전력 위에 F-47을 추가해 2030년대 이후 공중 지배를 이어갈 계획이다.

NGAD의 전략적 의미
이미지 확대
미 공군이 공개한 세대별 전투기 비교 자료. F-15와 F-16, F-22와 F-35에 이어 F-47이 6세대 공중지배(NGAD) 전력으로 제시됐다. 오른쪽 아래의 YFQ-42A와 YFQ-44A는 유인 전투기와 함께 임무를 수행할 협동 전투 무인기(CCA) 개념 기체다. 미 공군 제공
미 공군이 공개한 세대별 전투기 비교 자료. F-15와 F-16, F-22와 F-35에 이어 F-47이 6세대 공중지배(NGAD) 전력으로 제시됐다. 오른쪽 아래의 YFQ-42A와 YFQ-44A는 유인 전투기와 함께 임무를 수행할 협동 전투 무인기(CCA) 개념 기체다. 미 공군 제공


F-47은 차세대 공중지배(NGAD) 프로그램의 중심 유인 전투기다. NGAD는 전투기 한 기종이 아니라 협동 전투 무인기(CCA), 첨단 엔진, 스텔스 무장, 전자전 체계, 센서와 네트워크 융합까지 포함하는 체계다. 미국은 NGAD를 통해 단순한 신형 전투기가 아니라 중국과의 고강도 분쟁을 대비한 통합 전력을 구축하려 한다.

성능과 설계 논란
이미지 확대
미 공군이 공개한 6세대 전투기 F-47 렌더링 이미지. 실제 기체는 작전 보안을 이유로 완전히 반영하지 않았다. 미 공군 제공
미 공군이 공개한 6세대 전투기 F-47 렌더링 이미지. 실제 기체는 작전 보안을 이유로 완전히 반영하지 않았다. 미 공군 제공


공군은 세부 제원을 비공개로 유지한다. 알려진 성능은 작전 반경 1000해리(1852㎞) 이상, 최고 속도 마하 2(시속 2448㎞) 이상이다. F-22와 F-35보다 25% 긴 작전반경은 태평양에서 장거리 작전 능력을 크게 높인다.

지금까지 공식 렌더링은 단 두 장뿐이다. 공군은 실제 기체를 완전히 반영하지 않았다고 밝혔다. 렌더링에 나타난 캐너드(앞날개)는 기동성을 높일 수 있으나 스텔스 성능을 떨어뜨릴 수 있어 실제 적용 여부는 불확실하다.

트로이 마인크 공군 장관은 “중국 정보 분석가들이 이 사진을 분석하는 데 많은 시간을 쓰고 있을 것”이라며 “무언가를 찾아내려는 시도는 행운에 가깝다. 우리는 그 점을 매우 신중히 관리한다”고 말했다.

전력화 전망과 산업적 함의
이미지 확대
보잉이 미 해군에 제안한 차세대 함재 전투기 F/A-XX 렌더링. 외형은 F-47과 유사해 보잉이 공군과 해군 양축에서 6세대 전투기 기술을 병행 발전시키고 있음을 보여준다. 보잉 제공
보잉이 미 해군에 제안한 차세대 함재 전투기 F/A-XX 렌더링. 외형은 F-47과 유사해 보잉이 공군과 해군 양축에서 6세대 전투기 기술을 병행 발전시키고 있음을 보여준다. 보잉 제공


공군은 F-47 최소 185대를 확보할 계획이다. 블록별 개발 방식을 도입하면 양산 규모와 시기는 달라질 수 있다. 기체 단가는 F-35의 세 배 수준인 3억 달러(4182억 원) 이상으로 예상된다.

보잉은 공군 사업뿐 아니라 해군의 차세대 함재 전투기 사업 F/A-XX 경쟁에도 참여했다. 회사가 공개한 F/A-XX 렌더링은 F-47과 유사해 보잉이 공군과 해군 양쪽에서 6세대 전투기 기술을 동시에 발전시키고 있음을 보여준다.

워존은 “F-47은 단일 성능보다 NGAD 체계 속에서 무인기와 센서를 통합할 때 가치를 발휘한다”고 분석했다. F-47이 CCA를 통제하면 공군은 전술적 유연성과 생존확률을 동시에 확보할 수 있다.

중국 견제와 향후 과제
이미지 확대
중국 소셜미디어(SNS)에 공개된 6세대 전투기 ‘J-36’ 비행 영상. 꼬리날개 없는 스텔스 형상과 내부 무장창, 3개의 엔진이 특징으로 초음속 순항 능력을 갖출 것으로 분석된다. 출처=웨이보
중국 소셜미디어(SNS)에 공개된 6세대 전투기 ‘J-36’ 비행 영상. 꼬리날개 없는 스텔스 형상과 내부 무장창, 3개의 엔진이 특징으로 초음속 순항 능력을 갖출 것으로 분석된다. 출처=웨이보


미국은 F-47을 중국과의 고강도 분쟁에 대비한 전략 자산으로 본다. 장거리 작전 능력과 네트워크 중심 개념은 남중국해와 대만해협 작전을 겨냥한다.

그러나 막대한 비용과 첨단 기술 통합은 여전히 과제다. 트럼프 행정부가 속도를 내고 있지만 차기 정권과 의회의 예산 승인 여부가 프로그램의 성패를 좌우할 수 있다.

윤태희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에디터 추천 인기 기사
많이 본 뉴스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