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웨딩드레스 노출 심해, 집안 망신”…시댁 맹비난에 목숨 끊은 신부
이보희 기자
수정 2025-10-29 18:37
입력 2025-10-29 18:14
아제르 19세 신부, 14세 연상과 결혼 며칠 후 생 마감
아제르바이잔에서 19세 신부가 “노출이 심한 웨딩드레스를 입었다”는 신랑 가족 측 비난에 스스로 목숨을 끊는 일이 발생했다.
27일(현지시간) 영국 데일리메일, 더 선 등에 따르면 아제르바이잔 중부 도시 밍가체비르에서 지난주 결혼식을 마친 신부 레만 마마들리(19)가 부모 집 정원에서 목을 매 숨진 채 발견됐다.
아버지 무라드 바이라모프는 “결혼식 뒤 신랑과 신랑 부모가 우리 집에 와서 딸의 웨딩드레스를 놓고 모욕적인 말을 반복했다”며 “딸이 버티지 못하고 스스로 생을 마감했다”고 밝혔다.
바이라모프에 따르면 신랑 엘누르 마마들리(33)와 그의 부모는 어깨를 드러낸 레만의 웨딩드레스를 두고 “정말 부끄럽다. 마치 벌거벗은 듯 보인다”며 “어떻게 그렇게 수치스럽고 노출이 심한 웨딩드레스를 입게 했느냐”고 신부 측 가족에게 강하게 항의했다.
바이라모프는 해당 드레스에 대해 “많은 신부들이 입는 일반적인 드레스”라고 변호했으나 신랑 측은 “아들과 가족을 망신시켰다”며 비난을 이어갔다. 결국 며칠 뒤 레만은 감정적 압박을 견디지 못하고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
일각에서는 나이 차이가 있는 남성과의 결혼, 전통 및 보수적 관념과의 갈등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해 레만이 목숨을 끊은 것으로 보고 있다. 이에 바이라모프는 “딸이 원해서 결혼한 것이며 강압은 없었다”고 강조했다.
아제르바이잔은 무슬림 다수 국가로 알려져 있으며, 일부 지역에서는 여성의 복장과 결혼·가족 내 역할에 대한 보수적 시각이 여전하다.
심리학자들은 “결혼식이라는 사회적·문화적 굴레 안에서 신부가 느낀 위축감이나 소속감 부족이 극단적 선택으로 이어질 수 있다”며 “특히 신랑 가족으로부터의 모욕적 언행이 심리적 트리거로 작용했을 가능성이 크다”고 지적했다.
법률 전문가 또한 “강압 결혼이나 가정 내 언어폭력 역시 폭력으로 분류될 수 있다”며 “여러 정황을 볼 때 단순한 옷차림 논쟁 이상의 구조적 문제가 존재할 가능성이 있다”고 분석했다.
현재 아제르바이잔 경찰은 신부의 죽음으로 이어진 괴롭힘 혐의에 대해 형사 소송을 제기할지 여부를 조사하고 있다.
이보희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